java

Friday, October 26, 2012

Owner of raided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appears in court

http://www.elpasotimes.com/ci_21802476/owner-raided-central-el-paso-massage-business-appear?IADID=Search-www.elpasotimes.com-www.elpasotimes.com

Owner of raided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appears in court

By Adriana M. Chávez / El Paso Times
Posted: 10/19/2012 06:54:05 AM MDT

Click photo to enlarge




Soon Kim was led by ICE agents out of El Paso County Jail Thursday. (Victor Calzada / El Paso Times)
1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raid
Detention hearing for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owner delayed
Affidavit: Arrest of El Paso massage business owner linked to Las Cruces parlor raids
ICE agents raid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The owner of a Central El Paso massage business faces an international sex-trafficking charge that might involve forcing women into prostitution.
Agents with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 and Homeland Security Investigations arrested In Soon Kim, owner of the Kyoto Hot Stone Spa, 616 N. Virginia, during a raid Wednesday afternoon. Kim faces a federal charge of inducing or coercing an individual into interstate or foreign commerce for the purpose of engaging in prostitution.
Kim, 61, made her first court appearance Thursday afternoon. U.S. Magistrate Judge Norbert Garney told Kim the charge against her carries a maximum sentence of 20 years in prison if she's convicted. The details of what Kim is charged with were explained during the hearing.
Through a Korean interpreter who relayed the information to Kim over speaker phone, Kim told Garney she understood the charge, and near the end of the hearing, she asked Garney, "I can go home today?"
Garney told Kim he will determine whether or not she should be released on bond during a hearing at 11 a.m. Tuesday.
According to a profile for Kyoto Hot Stone Spa on backpage.com, a classified advertising website, the spa offers Swedish and shiatsu massage and "table showers" at a rate of $50 per half-hour. The spa is also ranked on several websites in which users review
Advertisement
businesses that allegedly offer erotic massages.
Federal officials did not want to comment about the case.
According to the Washington D.C.-based Polaris Project, an anti-trafficking organization, there are more than 5,000 brothels in the United States disguised as Asian massage parlors.
The pricing structure at such establishments are about the same: "johns" pay a house fee between $60 to $90 per half hour. Women employed at the massage parlor are pressured to "please the customer" in order to receive tips by participating in sexual activity.
Asian massage parlors typically operate in strip malls, office buildings or medical complexes, and advertise legitimate massage services on mainstream websites such as Craigslist and Backpage, or sometimes advertise the services through newspapers and billboards.
Often, massage parlor employees are in the U.S. illegally and are forced to participate in the prostitution scheme to pay off smuggling debts, after being told false promises of a better life, or under the fear they will be turned over to authorities because of their immigr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Polaris Project.
Women found working in the massage parlors typically live on-site, and are shuttled from brothel to brothel periodically. They often work long hours, and the owners of many establishments keep the doors locked and use security systems to monitor clients, who can enter the premises only by ringing a buzzer.
Last year, ICE and FBI agents, along with Las Cruces police, served search warrants at two Las Cruces massage parlors, Bally Hot Stone Spa on South Don Roser Drive, and Green Hot Stone Relaxation Spa on Hillrise Drive. After that raid, three women -- Hyang Sook Kim, 45, an employee of Green Hot Stone Spa, and Bally Hot Stone Spa employees Myung Hee Ok, 49, and Suk Cha Lowrey, 62 -- were charged in New Mexico state district court with promoting prostitution and accepting the earnings of a prostitute.
At the time, federal agents told the Las Cruces Sun-News they were looking into whether the two Las Cruces spas were connected to other locations in New Mexico, Texas or elsewhere in the country.
Adriana M. Chávez may be reached at achavez@elpasotimes.com; 546-6117. Follow her on Twitter @AChavezEPTimes

kado lesson


sado lesson




Tuesday, October 23, 2012

Undercover sting leads to bust of brazen Midtown hooker operation

http://news.searchina.ne.jp/disp.cgi?y=2012&d=1023&f=national_1023_008.shtml

ニューヨークで韓国人女性の売春業者摘発、顧客にはセレブも=韓国
Y! 【社会ニュース】 【この記事に対するコメント】 2012/10/23(火) 10:26

  米ニューヨークで、韓国人女性を雇って性売買業店を4カ所で不法に運営した売春業者が地元の警察に摘発された。現地メディアが22日に明らかにしたところ、韓国の複数のメディアもこれに注目し、続々と報じた。
■「韓国 性犯罪」に関する他の記事 - サーチナ・ハイライト
  韓国メディアは、「ニューヨーク警察、韓国人雇用の売春業者を摘発」「韓国人女性を雇った大規模な売春、ニューヨークセレブも常連で波紋」などと題し、ニューヨークで韓国人女性が所属していた大規模な売春業者が警察に摘発されたと伝えた。

  ニューヨークデイリーポストは22日、ニューヨーク警察がこの店の代表ウィリアム・トーマス(42)と韓国人女性イ・ジョン(28)を売春容疑で逮捕したと報道した。

  容疑者らは「E4AKorea.com」「E4NYC.com」など2つの売春サイトを開設し、顧客を集めた。「E4AKorea」ではメイド服や女子学生の制服を着用した韓国人女性の写真を掲載し、勧誘した。このウェブサイトによると、サービス料は時間当たり260ドルにチップ100ドルなど総360ドル(約2.8万円)だった。

  これらの店は、ニューヨークに在住する有名人や韓国人などアジア系の男性をターゲットにしていた。顧客リストには有名企業と弁護士なども含まれており、名簿が公開される場合、セックススキャンダルに拡大する兆しを見せているという。

  警察は客に見せかけた捜査官が数カ月間にわたり業者を内定し、証拠を確保。11日未明に取り締まりを行い、摘発したという。

  在ニューヨーク韓国総領事館のパク・ギホ領事は「まだ具体的な内容を確認しておらず、米国当局から連絡もない。当事者が望まない場合、私たちの側に通知が来ないこともある。名前だけでは、国籍を知ることができず、逮捕された容疑者がアメリカ国籍を持つ韓国人である可能性も排除できない」と述べたという。(編集担当:李信恵・山口幸治)

http://www.nypost.com/p/news/local/manhattan/brazen_midtown_hooker_ring_busted_v2NuXju7O1Yll6XiP5LiBM


Undercover sting leads to bust of brazen Midtown hooker operation
By JESSICA SIMEONE
Last Updated: 5:03 PM, October 22, 2012
Posted: 9:38 AM, October 22, 2012



William Thomas allegedly used 238 E. 50th Street to hook up his hookers with eager Johns.
Cops broke up a Manhattan prostitution operation that brazenly catered to Johns with a fetish for Asian women, court documents revealed today.

Fort Greene resident William Thomas, 42, was arrested and charged with promoting prostitution when he met with an overcover cop, and hooked him up with working ladies at 238 E. 50th Street, according to a Manhattan DA criminal complaint.

The bust happened on Oct. 11.Thomas posted $10,000 bail and was released on Oct. 13.

E4AKorea
One of the alleged "offers" on E4AKorea.
The undercover cop allegedly connected with Thomas through his mirrored Web sites www.E4AKorea.com and www.E4ANYC.com.

E4AKorea was still up this morning, showing off topless and scantily clad women for “Your Midtown Korean experience.” E4ANYC was shut down.

Advertised rates started at $180 for 30 minutes and went up to $300 an hour.

Women were posed in French maid and school-girl outfits. Thomas’ sites also linked to the sex-for-sale critique site, The Erotic Review — known as TER in the sex biz.

Johns posted reviews for a provider named “Olivia,” and described a screening system meant to weed out undercover cops.

Access to Thomas’ stable apparently required TER membership, a status that’s either purchased or gained by posting multiple reviews.

One reviewer from August posted: “The screening is very strict; provide proof of being a reviewer, send them an email from an account that is not one of the freebies, and then they send you a number to call. The process took me a week, but it was worth it. Olivia met me at the door. She is a total sweetheart with nice smile and cute voice.”

The undercover officer kept in touch with Thomas by email and text and “became a member of the E4AKorea private men’s club,” prosecutors said.

Thomas’ services also included overseas travel, but this probe only targeted Manhattan operations, according to the Manhattan DA.

The cop “arranged with Thomas for a session with one of the women advertised in the websites,” according to the criminal complaint.

Thomas allegedly operated brothels on Maiden Lane, East 50th Street, West 36th Street and East 58th Street, prosecutors said.

The fake John and defendant allegedly met in the cop’s car on Sixth Avenue at 36th Street when the defendant directed him to East 50th Street — a unit where Thomas pays ConEd bills, prosecutors said.

That’s where the officer was “admitted by a Korean woman” — later identified as 28-year-old Jung Lee, who allegedly said they could have sex. But a condom was required.

Another suspect, 38-year-old Rei Spain, also met with the undercover cop, who allegedly made his fetish for Japanese women known.

He was allegedly told that the Japanese women available that day wouldn’t engage in intercourse — only erotic massage.

“[The undercover officer] asked for a Japanese girl, and [Spain] said the Japanese girls don’t do full service, only massage and `happy ending’ for $100 plus $40 tip,” the complaint said.

Lee was arrested and charged with prostitution and promoting prostitution.She’s still being held at Rikers Island, according to city jail records.

Spain was arrested for promoting prostitution and was released without bail, police said.

The bust came less than a month since Manhattan Soccer Mom Madam Anna Gristina, 45, copped a plea bargain following four months in jail. She pleaded to one count of promoting prostitution.

Thursday, October 18, 2012

the history of Kon-nyo,Dedicator women


공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녀(貢女)는 약소국이 강대국에 조공의 하나로 여자를 바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최근의 공녀로는 위안 스카이가 조선 여성들을 데려간 것이 있다.[출처 필요]
[편집]한국

신라시대에 당나라에 조공으로 공녀를 바치기 시작한 이래 1894년 대한제국 고종이 청나라의 종주국을 부정하기 전까지 매년 중국에 조공으로 공녀를 바쳤다. 바쳐지는 공녀의 수는 일정치 않았으며 어떤 경우에는 대량으로 공녀를 데려가기도 했다.
공녀 중에는 중국이나 몽골의 황제의 눈에 띄어 후궁이 되거나 비빈으로 간택되는 경우도 있었다. 고려 출신 세조(世祖) 쿠빌라이(忽必烈)의 총애를 받은 이씨(李氏), 인종(仁宗)때에 영비(英妃) 달마홀도(達麻忽都[1]), 원말의 기황후[2]와 권황후[3], 조선의 여비 한씨[4]와 공신부인 한씨[5]가 대표적인 케이스이다. 이렇게 공녀 출신이 황후나 후궁이 되면 고려와 조선에 있던 그의 친정은 상당한 혜택을 보았다. 기황후의 친족인 기철, 기원 5형제와 여비 한씨, 공신부인의 남동생인 한확 등이 그들이다.
[편집]주석

↑ 기황후-고려
↑ 원나라 순제의 후궁이 되었다가 황후가 된다.
↑ 원나라 소종의 황후
↑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영락제 사후 순장당하였다.
↑ 명나라 선덕제의 후궁
[편집]바깥 고리

나라가 힘이 없어 중국에 바쳐진 인간 진상품… 貢女(공녀) 잔혹사 조선일보 2011년 04월 20일자
공녀와 위안부 국민일보 2011.12.18
공녀들의 슬픔을 그치게 하다-위키트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5662700&code=11171211

[한마당-최정욱] 공녀와 위안부
2011.12.18 17:59


1408년 4월 명나라 사신들을 영접한 태종은 황당한 얘기를 듣게 된다. “조선에 가서 잘 생긴 여자가 있으면 몇 명을 간택해 데리고 오라”는 황제의 명을 받았다는 것. 태종은 곧 공녀(貢女) 선발을 담당하는 관청을 설치하고 전국에 금혼령을 내렸으며 각 도에 관리를 보내 여성을 간택하게 했다. 대상은 양가의 13세 이상 25세 이하 미색을 갖춘 처녀였다.

하지만 선뜻 딸을 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에 따라 처녀를 숨기는 집안에 대해서는 재산몰수와 매질 등 가혹한 처분이 이어졌다. 결국 그 해 11월 사신들은 최종 선발된 처녀 5명을 데리고 명나라로 돌아갔다. 당시 처녀들의 행차에는 뒤따르는 가족들의 처절한 울부짖음이 이어졌다고 한다. 조선의 공녀 역사는 공식적으로는 중종 때까지 계속된다.

나라가 보내도 이처럼 억울할진대 식민지 시절 강제로 끌려갔던 이들의 심정은 어떠할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의 수요 집회가 지난 14일 1000회를 맞았다. 정대협은 1992년 1월 8일부터 매주 수요일 정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제 강점기 위안부 동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책임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때 집회를 취소하고 지난 3월 동일본 대지진 때는 추모집회로 대신한 경우를 빼면 20년간 이어진 세계 최장 집회다.

이날 집회에서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는 “일본 대사는 이 늙은이들이 다 죽기 전에 하루빨리 사죄하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날 일본대사관 건너편에는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해 “양국 외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낸 평화비도 공개됐다. 시민사회의 모금으로 건립된 이 평화비는 위안부 소녀 모습을 형상화했다.

하지만 위안부 할머니들의 집회가 1000번을 맞도록 제대로 된 사과조차 없는 일본의 모습은 실망스러울 뿐이다. 현 정부 역시 뉴라이트 쪽의 입김이 커지면서 위안부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지난 8월 헌법재판소는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배상을 위한 적극적 교섭이나 중재에 나서지 않은 것은 위헌”이라고 판결하기도 했다. 한·일 양국의 무관심 속에 위안부 할머니들은 하나 둘 세상을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17일 일본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를 강도 높게 언급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화려한 외교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성과들이 나왔으면 한다.

최정욱 차장 jwchoi@kmib.co.kr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9174


연재소설]10장-1 ‘공녀들의 슬픔’을 그치게 하다
조회2962 추천0 스크랩0 10.05.31 08:58 역동선생
(1)
[연재소설]10장-1 ‘공녀들의 슬픔’을 그치게 하다10.05.31 08:58 역동선생


이야기는 60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갑술년(1274, 원종15) 봄. 결혼도감이 설치되어 원나라에 보낼 여자들을 구했다. 원나라는 만자군(蠻子軍: 남송의 귀순병을 중심으로 조직한 군대)의 혼인을 위하여 관용비단 1,640단의 납폐물을 보내어 남편이 없는 여자 140명을 급히 요구했다.

이에 조정에서는 그해 가을까지 독신녀와 역적의 처, 노비의 딸, 파계승의 딸 등을 강제로 선발하여 마치 공물처럼 원나라에 바쳐졌으니 이들이 바로 ‘공녀(貢女)’였다. 공녀로 뽑힌 여자들에게는 치장할 화장 값으로 비단 12필씩이 주어졌다

이제현이 태어난 해이기도 한 정해년(1287)에 충렬왕은 교지를 내렸다.

양갓집 처녀는 먼저 관청에 신고한 다음에 혼인시켜라. 어긴 자는 처벌하라.

그로부터 20년 후인 정미년(1307)에 충렬왕은 다시 교지를 내렸다.

나이 16세 이하 13세 이상의 여자는 마음대로 혼인할 수 없게 하라.

이처럼 공녀는 주로 13세에서 16세까지의 앳된 소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금혼령이 내려지기 전에 미리 혼인시킴으로써, 열 살이 되면 혼인을 서두르는 조혼의 풍습이 생기게 되었다.

원나라에서 지속적으로 공녀를 요구한 이유는 부녀자 강탈을 통해 고려인들의 저항을 무력화하고, 원나라의 부족한 궁녀의 보충을 위해 미모와 총명을 겸비한 고려의 처녀들을 요구했던 것이다.

후일 김찬은 공녀로 선발된 어린 소녀들의 심정을 <동녀시〉로 대변했다.

온 세상이 갑자기 한집이 되니
동쪽 땅에 명령하여 궁녀를 바치라 하네.
규중(閨中)에 거처하여 드러나지 않도록 조심하였더니
관청에서 선발함에 심사하는 많은 눈을 어찌 감당할까.

살짝 다듬은 근심 어린 두 눈썹이 파란데
부끄러워하는 얼굴을 억지로 들게 하니 온통 발개지누나.
어린 꾀꼬리가 깊은 숲 속 나무를 떠나려 하고
젖내 나는 제비가 날아 옛 둥지를 잃으려 하네.
낭원(閬苑: 신선의 화원, 원나라 궁궐)에 옮겨 심은 꽃은 금방 핀다 하고
광한(廣寒: 달의 궁전, 원나라 궁궐)에 붙여진 계수나무는 편안히 자란다 하지.

떠나가는데 미적대지만 솜털 깔린 수레에 실리고
바쁘게 떠나려 하자마자 준마가 달리누나.
부모의 나라가 멀어지니 혼이 바로 끊어지고
황제의 궁성이 가까워질수록 눈물이 비 오듯 하는구나.

공녀제도는 1274년(원종 15년)에 140명이 원나라로 보내진 것을 시초로, 60년이 지나도록 계속되어 폐해가 극심했으며, 원나라로 갔던 처녀진공사(處女進貢使)의 왕래 횟수가 50회 이상 되었다.

을해년(1335, 충숙왕 복위4) 봄. 세월은 흘러 권씨 부인이 세상을 떠난 지도 어언 2년이 지났다. 이때 이제현은 후학지도와 저술활동에 몰두하고 있었다.

어느 날, 경기도 포천에 사는 박씨 성을 가진 사람이 원나라에 공녀로 팔려간 딸의 생사를 묻기 위해 이제현을 찾아왔다. 종2품의 정당문학을 사직한 재상의 집이었지만, 민초들을 제 자식처럼 사랑하는 주인의 덕성 때문인지 하인들은 뜻밖의 손님을 따듯하게 이제현에게 안내했다.

박씨는 이제현에게 공손히 예를 표한 후 말했다.

“대감마님, 소생의 미천한 여식이 원나라 황제의 숙위 타리부화(朶里不花)의 첩실로 팔려간 지 여러 해 되었는데 소식이 끊긴 지 오래되었사옵니다. 연경을 오가는 상인들의 이야기에 의하면, 중국 남쪽에서 일어난 진우량의 군대가 강서 일대를 점령하자 사위가 황명을 받고 진우량의 토벌을 위해 강서성으로 출정했는데 부하들의 반란으로 그만 목숨을 잃었다 하옵니다. 제 딸의 생사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시옵소서.”

이제현은 안타까운 시선으로 박씨를 바라다보며 이야기했다.


“중국의 전란 통에 애꿎은 우리의 딸들이 죄 없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는 풍문을 들어서 알고 있소이다. 내 연경에 기별을 해서 고려 댁의 생사를 확인해 볼 테니 너무 상심하지 마시오.”

“고, 고맙습니다. 대감마님.”

당시 지배층 출신의 공녀들은 황제의 후궁, 귀족 내지 고위 관료의 처 혹은 첩이 되어 그런대로 지낼 만 했지만, 대부분 일반 백성 출신의 공녀들은 원에 귀부한 여러 나라 군인의 처, 원나라 황실의 궁녀 혹은 잡역부가 되어 인간 이하의 고달픈 생활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약소국 고려 소민(小民)들의 분노한 민심은 하늘을 찌를 기세였다. 공녀가 원나라로 떠나갈 때 딸을 잃은 백성들의 울음소리가 하늘과 땅을 뒤흔들었으며, 산천초목도 서러워서 울었다. 이를 보는 사람들도 슬퍼서 탄식하지 않은 자가 없었다.

그해 겨울. 이제현의 수철동 사랑방에는 공녀문제의 해결을 위해 이제현, 이곡 두 사제가 서안(書案)을 사이에 놓고 마주 앉아 있었다.

이때 이곡은 한 해 전에 ‘학교를 진흥시키라’는 조서를 받고 원나라에서 귀국하여 직보문각(直寶文閣) 벼슬을 맡고 있었다.

스승인 이제현이 먼저 말문을 열었다.

“가정(稼亭), 자네는 명년에 다시 원나라에 들어간다지.”

“예, 스승님. 2년 후 다시 원나라 조정에 출사하는 조건으로 작년에 귀국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고려의 딸들이 공녀로 뽑혀 원나라에 팔려간 지가 얼마나 되었지?”

“한 60년은 된 것 같습니다.”

“모녀가 한 번 헤어지면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지 못하니, 아픔이 골수에 사무쳐 병에 걸려 죽음에 이르게 된 자가 셀 수 없네. 천하에 이보다 더한 원통함이 어디에 있단 말인가.”

“지난 세월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계속된 원나라의 공녀 요구는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에 대못을 박는 천륜에 반하는 만행입니다.”

“가정, 명년에 출국하게 되면 공녀 문제의 심각성을 원나라 황제에게 상소하도록 하게. 그리하여 공녀제도의 폐습이 하루빨리 없어질 수 있도록 해결에 앞장서주게.”

“스승님, 저의 둔필(鈍筆)로 과연 원나라 황제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요?”

“처음부터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뭐든지 불가능한 법이네. 그러나 뭐든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불가능한 일이 없는 법이네.
영웅호걸(英雄豪傑)과 범부(凡夫)의 차이가 그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네. 모든 일에는 기회라는 것이 있네. 기회를 멋지게 포착하는 사람만이 영웅호걸이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네.”

“알겠습니다, 스승님. 가슴앓이 끝에 병들어 죽은 고려 부모들의 원혼을 달래주고 앞으로 더 이상 불행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80825120150






"중국에 공녀, 일본에 위안부, 그리고 우리"
[인터뷰] <해외 입양과 한국 민족주의> 펴낸 이삼돌 박사
강이현,전홍기혜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08-08-25 오후 12:12:12

'노예, 공녀, 위안부….'

그는 그 자신을 비롯한 약 16만 명의 상황을 그렇게 비교했다. 결코 스스로 원하지 않았던, 금전적 거래의 대상이 된 강제 이주. 심지어 아직도 매년 2000여 명에게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바로 해외 입양인이다.

이삼돌(토비아스 휘비네트) 박사는 태어난 이듬해인 1972년 스웨덴으로 입양됐다. 그가 다시 한국을 방문한 때는 그가 25살이었던 1996년. 당시 스웨덴 주재 한국 대사관의 초청을 받아 세계 한민족 축전에 참가한 그는 해외 입양인을 대하는 한국인의 모습에서 공통점을 발견했다. 그것은 바로 뿌리깊은 민족주의였다.

"나는 축전 기간 내내 입양인을 따라다니는 취재 기자들, 그리고 주최 측이 입양인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차렸다. 그것은 본질적으로는 다른 어떤 나라 사람도 아닌 바로 한국인이라고 말해 주기를 바라는 것이었다."

그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해외 입양을 놓고 본격적인 사회문화적 연구를 시작했다. 특히 매년 한국을 방문하면서 그는 해외 입양이라는 문제가 한국의 미디어와 대중 문화에서 지속적으로 다뤄지고, 또 유통되고 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국 해외 입양의 역사와 대중문화 속 해외 입양을 분석한 연구의 결실은 스톡홀름대학 동양어과 한국학 박사 논문으로 나왔다. 출간되자마자 이 논문은 지난 15년간 나온 스웨덴의 박사학위 논문 가운데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은 '내려받기' 건수(3만4499건)를 기록하는 등 국제적으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논문은 최근 <해외 입양과 한국 민족주의>(뿌리의 집 옮김, 소나무 펴냄)라는 제목으로 국내에 번역돼 출간됐다.

그는 논문에서 단순히 한국의 민족주의만 언급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한국의 해외 입양에 서구의 식민주의가 결합됐다고 분석했고, 궁극적으로 해외 입양이 중단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그의 주장을 불편히 여긴 서구 엘리트 계층의 반발로 그는 스웨덴에서 연구소를 그만둬야 했다.

지난 21일, 온 국민이 올림픽 응원 열기에 휩싸여 있는 시간, 그 열광만큼 우리 사회가 모두 애써 외면하려 하는 진실을 알리기 위한 모임이 서울 한 곳에서 출발했다. 이삼돌 박사가 연구위원으로 참여한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 모임(TRACK)' 창립총회가 열린 것이다.

입양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 채 입양인에게 '민족성'을 강요하며 '복원'을 시도하는 한국, 완전무결한 탈식민화만을 내세우며 근대성의 어두운 뒷면인 해외 입양은 감추려는 한국. 그곳에서 진실을 요구하고 화해를 제안하는 해외 입양인들의 발걸음이 결코 쉽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모임이 열리기 전인 지난 19일, 서울 청운동에 위치한 해외입양인 쉼터 '뿌리의집' 사무실에서 이삼돌 박사를 만나 그의 책에 대한 이야기와 해외 입양에 대한 생각을 들었다.

"해외 입양은 한국의 역사, 사회, 문화 속에서 해석돼야 한다"

▲ 이삼돌(토비아스 휘비네트) 박사. ⓒ프레시안

프레시안 : 해외 입양에 얽힌 한국의 역사, 그리고 민족주의를 4편의 국내 영화와 4곡의 노래를 통해 분석했다. 그런 접근 방법을 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삼돌 : 1996년 한국에 왔을 때 사람들이 해외 입양인, 입양에 관한 영화와 노래가 있다고 알려줬다. 이후에 관련된 작품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매년 한국에 오면서 특히 비디오 대여점이나 중고레코드 가게에서 노래와 영화를 수집했다.

2001년, 박사 과정에 들어가 논문을 쓰기 시작하면서 더 체계적으로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다. 한국언론재단, 한국영화 아카이브 등 인터넷에서 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신문, 잡지 기사도 예외가 아니었다.

프레시안 : 특히 이 작품들을 선정한 이유는 무엇이었나. (이삼돌 박사는 논문에서 장길수의 <수잔브링크의 아리랑>, 김기덕의 <야생동물보호구역>, 박광수의 <베를린리포트>, 이장수의 <사랑>, 시나위의 <어머니의 땅>, 문희준의 , 클론의 <버려진 아이>, 스카이의 <영원> 등 총 8편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삼돌 : 잘 알려진 감독과 가수들의 작품이었기 때문에 한국 사회에 많이 알려져 있다고 보았다. 또 이들 작품의 주제가 내가 분석하려는 주제와도 맞았다.

또 나는 입양에 관한 다양한 작품이 계속 나오고 있다는 것을 안다. 나는 2002년까지 수집을 했지만 이후 <마이 파더> 등 입양을 다룬 신작이 계속 나왔다.

한국과 서구 학계 가릴 것 없이 입양은 그 자체로서 다룰 뿐 다른 이슈와 연관짓지 않는다. 학문의 범위도 사회복지학, 법학, 심리학, 의학 등에서 뿐이다. 나는 입양을 다른 관점으로 보고 싶었다. 바로 한국의 역사, 사회, 디아스포라, 문화, 미래에 관한 시각이다.

입양 문제에는 두 측면이 있다. 한국의 민족주의, 서양의 식민지주의다. 즉 심리적 문제와 이데올로기가 결합돼 한국 입양 문제를 구성한다.

"오랜 종속의 역사의 연장선에 해외 입양이 있다"

프레시안 : 그런 관점은 한국의 일반 독자에게는 굉장히 낯설게 들릴 것 같다.

이삼돌 :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을 예로 들어 보자. 이 영화에 등장하는 4살짜리 여자 아이는 한국인 입양인이고, 스웨덴인 양부모는 그를 가혹하게 대한다. 이후 성인이 된 그를 한국인 기자와 목사가 구해준다.

여기에서 서양의 식민주의와 한국의 민족주의를 차례로 볼 수 있다. 매우 전형적으로 입양 문제를 바라보는 방식이지만 또 흑백 논리로 볼 수도 없는 문제다. 두 관점 모두를 비판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한 전제로 두고 싶다.

그러나 그 중에서 민족주의적 관점을 논할 때 나는 해외 입양을 젠더, 계급, 소수자 문제 등과의 연장선 상에서 한국의 내적인 사회 문제로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한국의 해외 입양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제 강점기, 분단, 한국 전쟁, 군사 정부라는 역사적 흐름과, 가부장적 문화, 계급 문제를 살펴봐야 한다.

프레시안 : 한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심한 굴곡의 역사를 지닌 나라는 많다. 그런데 유독 한국의 해외 입양 규모가 크다. 왜 그럴까.

이삼돌 : 한국은 오랜 종속의 역사가 있다. 중국, 일본, 미국, 그리고 서구. 즉 사람을 제국으로 보내는 오랜 역사라고도 볼 수 있다.

중국으로 공녀를 보냈고, 일제 강점기에는 정신대 여성이 있었다. 이제 아이들을 서양으로 입양시킨다. 해외 입양을 전통적인 인구 이동 문제에서 보자면 강제된 이주라는 측면에서 아프리카의 노예와도 비교할 수 있다.

또 한국 전쟁은 서구인들이 봤을 때 식민 제국주의 시대가 끝나고, 2차 대전이 종료된 뒤 제3세계에서 일어난 첫 번째 전쟁이었다. 그런 까닭에 근대적인 국제 입양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처음 입양아들은 한국 전쟁에서 특히 많이 태어난 혼혈아였다. 한국인과 서양인 모두 그들을 부끄러워하며 한국에서 내보내고 싶어했고, 해외 입양은 그들의 공동 작업이었다. 결국 그들은 국제 입양을 통해 인종 세척을 한 셈이었다. 장애아 문제도 마찬가지다.

"대중문화 속 해외 입양, 그것은 되풀이되는 악몽과 같다"

▲ 이삼돌 박사는 "해외 입양을 대중문화 속에서 이렇게 많이 다뤄지는 나라는 없다"며 "이것은 악몽처럼 부끄러운 기억을 되풀이하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프레시안

프레시안 : 한국의 해외 입양을 국가적 트라우마로 해석할 수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뜻인지.

이삼돌 : 우선 입양에 대해 이렇게 많은 대중문화에서 다뤄지는 나라는 없다. 신문, 잡지, TV에서도 가족 찾기 프로그램이 있다. 대중 문화와 매스미디어에서는 입양은 매우 전면에 나타난 이슈다.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이러지 않다.

왜 한국인들은 이런 작품들을 생산하고 소비할까. 그것은 악몽처럼 부끄러운 기억을 되풀이하는 현상이라는 것이 내 분석이다.

그런데 입양은 지나간 일에 그치지 않는다.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아직도 서구에서는 한국이 '아이를 외국으로 입양하는' 가난한 나라라는 이미지가 널리 퍼져 있다.

해외 입양을 들여다보면 마치 시간이 멈춘 것 같다. 한국 경제가 예전보다는 많이 발전하고 잘 살지만 그래도 아직 입양의 문제가 가난하다는 이유로 해결되고 있지 않고 있다. 해외 입양이 계속되는 한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는 언제나 슬픈 역사, 가난한 나라로 남아있을 것이다.

프레시안 : 한국 사회가 해외 입양을 인식하는 태도에 '부끄러운 비밀'로 여기는 태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최근 다니엘 헤니에 대한 인기나 해외 입양인에 대한 인식을 보면 그런 태도도 상당 부분 변한 것 같다.

이삼돌 : 1991년에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이 나온 뒤 <마이 파더>가 나오기 까지 16년이 흘렀다. 거기에는 큰 차이가 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입양 문제가 정말 비밀스런 문제였고 영화는 충격적이었다.

그러나 이제 훨씬 더 일반화됐다. TV 드라마를 봐도 해외 입양인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이제 그들은 해외 입양인도 드라마의 캐릭터로 활용한다. 나는 이를 긍정적으로 본다.

해외 입양은 분명히 반대하지만 해외 입양과 해외 입양인 문제는 따로 떼어서 보아야 한다. 입양은 중단되어야 하지만 입양인에 대한 시각이 일반화되는 것은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화해와 치유 위해서는 먼저 해외 입양이 중단되어야 한다"

프레시안 : 새로 만드는 단체 이름에 '진실과 화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이삼돌 : 이 단체의 목적은 해외 입양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입양 산업에서 안 좋은 일들이 일어났고,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그것은 일종의 인신매매였다. 진실이 나와야 해결될 수 있다.

또 미래를 위한 화해가 필요하다. 일종의 치유 과정이다. 많은 성인 입양인들은 한국과 한국인들에게 매우 화가 나 있다. 그들의 화가 누그러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궁극적으로 그들과 화해하고 치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외 입양이 중단되어야 한다.

프레시안 : 한국에서는 입양 문제가 일단 해외로 보내고 나면 끝나는 문제라고 생각했다. 자라서 성인이 되어서 1990년대부터 한국에 들어와서 부모를 찾고 이런 과정에서 계속되는 문제라는 걸 깨달은 것 같다.

이삼돌 : 그런 면에서 이 문제는 아프리카 노예와 비교할 수 있다. 그때 수백 만 명이 이주됐고, 그런 측면에서 비슷하다. 노예 이주는 중단됐지만 그들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계속되고 있지 않나.

프레시안 :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계획인지.

이삼돌 : 이 논문은 해외 입양을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에 관해 쓴 책이다. 이후 스웨덴에서 새로운 책을 썼다. 바로 성인 입양인에 대한 인종 차별 등의 경험 등 서구의 시각에 관한 것이다. 또 '트랙' 등 한국의 해외 입양을 중단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펴나갈 계획이다.

프레시안 : 오랜 시간 좋은 말씀 감사하다.




http://www.expres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104







공녀(貢女), 환향녀(還鄕女)
<기고> 김민수 전 문화재청 고궁박물관 연구원
2012년 07월 14일 (토) 23:46:32 김민수 stopksk@hanmail.net


‘공녀(貢女)’는 조선국이 명나라의 요구로 뽑아 보낸 처녀이다.

명나라는 1408년(태종 8)부터 1521년(중종 16)까지 거의 10여 차례 환관(宦官)과 함께 공녀(貢女)를 요구하였다.

1521년(중종 16) 명나라의 새 천자가 등극한 것을 축하하는 하등극사(賀登極使)로 홍숙(洪淑)을 보낼 때 공녀(貢女)의 철폐를 명나라에 요구하여 공녀의 요구가 사라졌다.

‘환향녀(還鄕女)’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전쟁 중 적에게 강제로 끌려갔다가 고향으로 돌아온 여성이며 정절(貞節)을 잃었다는 이유로 남편들로부터 공개적으로 이혼 청구를 받은 여성들이었다.

환향녀(還鄕女)의 남편들이 이혼을 청구할 경우에는 먼저 국왕의 허락을 받아야 했다. 선조 대에 환향녀(還鄕女)의 남편들이 집단으로 국왕에게 이혼을 청구했다.

선조는 “이혼을 요청한 상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나 환향녀(還鄕女)들이 절개를 잃은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허락할 수 없다”고 이혼 청구를 거절했지만, 환향녀(還鄕女)의 남편들은 모두 첩을 얻어 부인을 멀리했다.

환향녀는 1627년(인조 5) 정묘호란과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도 많이 발생했다. 평안도 의주에서 평양까지는 미인이 많아 벼슬아치나 양반의 처까지도 끌려갔다.

청나라에 끌려간 여자들 중 많은 돈을 주고 돌아온 여자들은 환향녀(還鄕女)로 불리면서 치욕을 감수해야 했고, 환향녀(還鄕女)는 남편으로부터 이혼을 요구받아야만 했으나, 인조는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http://ask.nate.com/knote/view.html?num=1221004


* 잊혀진 여성 공녀(환향녀)를 아시나요?
segama26 | 08.11.02 04:53
추가지식 0
조회 615

지식공감


지난달 31일 서대문구 홍제천에서 열린 '공녀! 그녀들을 아십니까?' 추모행사가
여성문화유산해설사회 주최로 열렸다.

일명 '환향녀' 로 불린 공녀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한풀이 춤이 펼쳐졌다.
공녀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원(元), 명(明), 청(淸)의 요구에 응해 바쳐진 여자들을 말한다.

이들 환향녀는 홍제천에서 목욕재개하고 몸과 마음을 씻으면 행적을 묻어버리고
그녀들의 정조문제를 거론하는 자는 엄단하라는 인조의 영이 있었으나 고향에서 조차 버림받았다.





━━━━━━━━━━━━━━━━━━━━━━━━━━━━━━━━━━━━━━━━━━━━━



■ 환향녀의 유래

조선의 역사상 가장 치욕스러운 사건 중 하나는 '삼전도 굴욕사건' 이다.
병자호란의 결과 인조는 세자와 함께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는
항복의식을 치렀고 청군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인질로 하고 김상헌 등 척화파의 주요 인물들을 묶어
심양으로 돌아간다.

병자호란의 치욕은 일반백성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병란으로 말미암아 재산 피해뿐만 아니라 수많은 양민과 부녀자들이 볼모로 끌려가 갖은 치욕과
고통을 당하고 그 곳에서 죽기도 했다. 주로 북쪽 지방에 사는 여인들의 피해가 컸다.
특히 의주에서 평양까지는 미인이 많아 벼슬아치나 양반의 처까지도 끌려갔다.
청나라에 끌려간 여자들 중 대부분 돌아올 수 없었으나, 많은 돈을 주고 돌아온 여자들도 '환향녀' 로
불리면서 치욕을 감수해야 했다.

시대적인 아픔이 서려있는 '화냥년' 에 대해 알아봅니다.

제 남편이 아닌 남자와 동침하는 짓인 이른바 서방질을 하는 계집을 사람들은 '화냥년' 이라고 한다.
이 '화냥년' 이 생긴 것은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병자호란은 1637년 1월 30일 조선의 왕이 청나라 태종 앞에서 무릎을 꿇고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그러나 더욱 치욕스런 일이 그 다음에 일어났다. 청나라 군사가 철수하면서 50여만 명의 조선 여자를
포로로 끌고 간 것이다.

이 때 청나라 군대인 되놈들에게 전리품으로 끌려갔던 여인들 중 속전(贖錢)을 물거나 도망쳐
고향에 돌아온 여인들을 일컬어 환향녀(還鄕女)라 불렀다. 당시에 되놈들에게 강제로 끌려간 많은
부녀자들은 그들에게 성적인 굴욕을 당했기로 더럽혀진 몸으로 고국에 돌아오지 못하거나 돌아왔다가
가문의 손상된 명예와 주변의 눈살 때문에 다시 되돌아갈 수밖에 없었던 비극의 여인들이었다.

옛 어른들은 여인이 싱겁게 웃으면 '웃긴! 되놈한테 업혀갔다 왔나' 하고 곧잘 나무랐다.
우리 옛글 속에는 싱겁고 허튼 웃음을 '환녀함소(還女含笑)' 라 했다.
여기에서 환녀란 병자, 정묘호란 때 전리품으로 되놈들한테 업혀갔다 돌아온 환향녀다.
돌아온 이 여인들이 오랜만에 만난 부모 형제를 보고 통곡은커녕 야릇한 웃음을 띠었던 것이다.
태그환향녀 공녀


http://redpig518.tistory.com/351






밀대 체공녀 &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 파업
다 함께 잘살기 2010/11/21 03:13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사내 하청 지회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 그리고 오늘 분신했다는 한 노동자의 소식을 접하며 '을밀대 체공녀'를 떠올렸다. 1931년 평양 고무신 공장 노동자들의 동맹 파업에 참가하여 공장을 점거했다가, 경찰의 출동으로 한밤중에 쫓겨나 을밀대 지붕 위에 홀로 올라가 농성을 벌인 그 "여류 투사"의 이름은 강주룡이다. 그는 "이천삼백 명 우리 동무의 살이 깍기지 않기 위하여 내 한 몸덩이가 죽는 것은 아깝지 않"다고 '"산보객"들에게 "일장연설"을 할 만큼 뜨거운 연대 정신과 인간애의 화신이었다.

생각해보면 그때도 대공황 직후의 이른바 경제 위기의 시기였고, 그의 신분은 남성 노동자보다 훨씬 열악한 노동 조건에 놓였던 여성 노동자였다. 지금의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비슷하다면 비슷한 처지였다는 얘기다. 근 80년 전이나 지금이나 자본주의의 근본 모순은 여러 모로 건재하다고나 할까. 5조1천억 원을 들여 건설회사 인수할 돈은 있어도, 정규직과 똑같은 일을 하며 그들의 반밖에 안 되는 임금과 해고 위협에 시달리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해 쓸 돈은 한 푼도 없는 자본가만 봐도 말이다.

아래 옛 잡지 <동광>의 기사나 <퍼슨웹>의 가상 인터뷰는 예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한 번 올렸던 것이다. 그대로 긁어다 재활용한다. 5년이 지나 다시 봐도 감동스럽다.

※ 새벽 두 시에 목숨을 걸고 농성하는 중에 "기생을 끼고 산보하는 잡놈"들을 보는 기분은 어땠을까? 그때나 지금이나 잡놈들은 참 많기도 하다.

※ 또 하나. 일제시대라지만 연대 파업의 대상이었던 평양 고무신 공장의 자본가들은 대부분 조선인이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조선 자본가들 역시 정부 당국 및 경찰과 사이가 참 좋았던 듯하다.

※ "노동쟁의의 신전술을 보여준 일본 연돌남(煙突男)"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로 미루어 알 수 있는 것은 일본인 노동자들도 많았고 그들 또한 조선 노동자들과 연대하여 싸우는 입장이었다는 거다. "연돌남"이란 아마도 '굴뚝에 올라가서 농성을 벌인 남자'를 뜻할 것이다.

------------------------------------------------------------------------------





[을밀대(乙密臺)의 체공녀(滯空女)
- 여류 투사 강주룡(姜周龍) 회견기]

평양 명승 을밀대 옥상에 체공녀가 돌현하엿다.

평원(平元) 고무직공의 동맹파업이 이래서 더 유명하여젓거니와 작년 노동쟁의의 신전술을 보여준 일본 연돌남(煙突男)과 비하야 좋은 대조를 이루는 에피소드라 할 것이다.(중략)

「우리는 사십구 명 우리 파업단의 임금감하를 크게 여기지는 않습니다. 이것이 결국은 평양의 이천삼백 명 고무직공의 임금감하의 원인이 될것임으로 우리는 죽기로써 반대하랴는 것입니다. 이천삼백 명 우리동무의 살이 깍기지 않기 위하여 내 한 몸덩이가 죽는 것은 아깝지 않습니다.

내가 배와서 아는 것 중에 대중을 위하야서는(중략) 명예스러운 일이라는 것이 가장 큰 지식입니다. 이래서 나는 죽음을 각오하고 이 집웅우에 올라 왓습니다. 나는 평원고무사장이 이 앞에 와서 임금감하의 선언을 취소하기까지는 결코 내려가지 않겟습니다. 끝까지 임금감하를 취소치 않으면 나는 자본가의 (중략)하는 노동대중을 대표하야 죽음을 명예로 알뿐입니다.

그러하고 여러분, 구타야 나를 여기서(집웅) 강제로 끄러내릴 생각은 마십시오. 누구든지 이 집웅우에 사닥다리를 대놓기만 하면 나는 곳 떠러져 죽을 뿐입니다.」

이것은 강주룡이 5월 28일 밤 12시 을밀대 집웅우에서 밤을 밝히고 이튿날 새벽 산보왔다가 이 희한한 광경을 보고 뫃여든 백여명 산보객 앞에서 한 일장 연설이다. 이 연설을 보아서 체공녀 강주룡의 계급의식의 수준을 엿볼 수 잇다. 이 여자는 어떤 사람인가. 어떤 생애를 하며 어떠한 환경의 지배를 받앗나? 이것이 편집자로부터 내게 발한 명령이다.

6월 7일. 부외(府外) 선교리(船橋里) 평원 고무직공 파업단 본부로 강주룡여사를 방문하엿다. 유달리 안광을 발하는 작은 눈, 매섭게 생긴 코, 그리고 상상이상의 달변은 첫 인상으로 수월치않은 여자라는 것이엇다.

그러나 그보다도 그의 과거 생애가 듣는 나를 놀라게 하엿다. 오늘 그의 가진 의식과 남자이상의 활발한 성격이 우연한 바가 아님을 알수잇다. 이제 잠간 나는 붓을 돌리어 그의 입에서 나오는 대로의 그의 과거 생의 독백을 속기한다.

고단했던 간도길 - 결혼에서 사별, 노동자가 되기까지

나의 고향은 평북 강계(江界)입니다. 열네살까지는 집안이 걱정없이 지냇으나 아버지의 실패로 가산을 탕진하야 내나히 열네살쩍예 서간도로 갓습니다. 거긔서 농사하면서 칠년동안 살앗는데 스므살 나든 해에 통화현에 잇는 최전빈(崔全斌)이라는 이에게 시집갓습니다. 남편은 그때 겨우 15세의 귀여운 도련님이엇습니다. 나는 남편의 사랑을 받았다기보다도 남편을 사랑하엿습니다. 첫눈에 아조 귀여운 사람 사랑스런 사람이라는 인상을 얻엇습니다. 부부의 의도 퍽 좋앗습니다. 동리가 다 부러워 하엿답니다.

더보기





+ 추가.
☞ 현대차 분신 노동자 “오른쪽 바퀴는 정규직, 왼쪽은 제가 달았는데…”
(인터뷰 동영상 포함.)



마이피플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

Korea,the Calamity

http://sankei.jp.msn.com/life/news/121018/bks12101803010000-n1.htm

韓国という厄災 日本人には理解不能?!かくも卑しきコリアン根性
2012.10.18 03:00 (1/4ページ)[月刊正論]
虚言、詐欺、相互不信、空理空論、無恥、卑屈、臆病…これが「半万年の歴史を持つ偉大な韓民族」の正体だ-。(評論家・黄 文雄 月刊正論11月号)

裏切りと不信の国民性

韓国の李明博大統領の竹島上陸と天皇に対する非常識な発言に、日本人が怒り、抗議の声が広がっている。嫌韓感情の高まりというよりも、「この国はだめだ」という諦感が定着し始めているのは、ごく当たり前のことだ。

戦後、日韓基本条約を結んだにも拘らず、歴代の韓国大統領は日本に対し「謝罪と反省」を執拗に求め続けてきた。一方の日本がいくらそれに応じて謝罪を行事化し、明文化をくりかえしても、韓国の反日感情は収まらない。

金大中、盧武鉉両大統領の2代10年にわたる親中、親北、反日、反米の左翼政権から商人出身の李明博大統領の代になって、本人も「韓日の過去」のいざこざに終わりを明言し、日本もこれで両国関係は正常化に向かうと期待していた。だが、李明博の8月以降の豹変ぶりと異常な言動にまともな日本人は愕然とし、「また裏切られた」という念が強い。「李明博までも」という韓国人への不信感は募る一方である。


李明博大統領の異常な言動を巡り、私がすぐ連想するのは、フランス神父ダレが著した『朝鮮事情』(原題『高麗史』)の中の記述である。ダレは同書の中で、「五十人による陰謀は、たいていその共同謀議者の四十九人から暴かれる」という、朝鮮人の「不信と裏切り」の国民性を描いている。

朝鮮史上二回にわたる「胡乱」は有名である。満蒙八旗軍と戦って敗れた朝鮮は、「迎恩門」や「慕華館」、「頌徳碑」まで作らされる屈辱を受けた。しかしこれは、元をたどれば後金国の2代目ハーン・フォンタイジの、朝鮮から受けたいじめと裏切りに対する復仇であった。「胡乱」は満蒙八旗軍による半島蹂躪の歴史というよりも、朝鮮人が持つ裏切りと不信の国民性を象徴する歴史事件と読むべきだ。

戦後、半島の北も南も、エリート層にしか使いこなせない漢字を全廃し、ハングルのみ国字にしたのは、民族を育てていくのに必要不可欠なことだった。当時、中国でさえ簡体字化、将来のラテン文字化を目指していた。文豪魯迅までが、「漢字滅ぼせずんば中国滅ぶ」と遺言をのこしている。交信メディアの転換は近現代にかぎらず、人類史上よく見られることだ。

だが、結果としては、漢字廃止後の「ハングル世代」と呼ばれる世代は真の国史を知ることができなくなり、「捏造」「創作」の国史しか知らないという状況を生み出した。「韓国半万年史」の中で、高句麗史、渤海史以外には、真実の記述が乏しく、人物としては朴正煕しかいないというのが、中立な私の眼から見た韓国である。

「日帝36年」は超安定社会

李明博大統領の「もし天皇が訪韓したいならば、殺された独立運動者に謝罪を」という旨の発言は、韓国なら通用するかも知れないが、外国ではその知性だけでなく品格まで疑わせるものだ。

ソウル・オリンピックの時から韓国は「天皇訪韓」をあたかも日本の「義務」であるかのように要請しつづけてきたが、逆に日本から求めたことは1度もない。また、「殺された独立運動者」というが、日韓合邦以来、義兵運動から反日ゲリラに至るまで、法によって刑罰に処された者よりも内ゲバで殺された者のほうが多かった。反日、抗日、建国運動の指導者として活躍していた呂運享、宋鎮禹、金九らは、いったい誰に殺されたのだろうか。独立運動家はほとんどが同志や政敵に暗殺されたのではないだろうか。

戦後、韓国は「日帝三十六年の七奪」(主権、国王、土地、姓氏、生命、国語、資源の七つを奪った)をはじめ、強制連行やら従軍慰安婦を反日、克日のお題目として唱え、国造りのテコにしてきた。竹島は戦後李承晩ライン以後に韓国の領土とされたものである。

国民国家の時代以来、いかなる民族も国家も強国、大国志向である。英仏だけでなく、オーストリー・ハンガリー帝国、チェコスロバキア、ユーゴスロバキアも同君合邦国家だった。福沢諭吉の「脱亜論」の数年後に刊行された樽井藤吉の「大東合邦論」は日韓清とも「同文同種同俗同州」のアイデンティティの下で違和感はないと主張していた。日韓合邦も双方に賛否両論ある中で実現したものであり、一方的な強制だったとするのは言いがかりだ。日韓合邦は「東亜の永久平和」への礎としてむしろ列強がそろって賛同し、利害関係の強い清露さえ異議を唱えなかった。

また実際にも、戦後韓国が主張するような「七奪」どころか、人口も食糧も倍増し、主権も拡大、史実としては「七恩」あるいは「七布施」と称するべきものだった。



戦後の李承晩大統領以降、次代の大統領が先代を粛清することはすでに韓国政治の掟となり、宿命ともいえる。しかしそれは戦後から始まったことではない。李王一族をはじめ両班に至るまで繰り広げられる朋党間の争いは朝鮮名物のようなもので、宿痾だった。李朝500余年にかぎらず、高麗朝からさらに檀君開国まで遡っても、内ゲバが半島史の宿命だった。

ではなぜ「日帝」の時代が半島史上未曾有の、いや空前絶後の超安定社会となったのか。その理由はただ一つ、朋党間の争いが半島から排除され、場外乱闘に変わったからだった。それが戦後になってまた再燃しただけのことである。ハングル世代は近現代史を語るのに際し、その掟から知るべきだ…。続きは月刊正論11月号でお読みください

■黄文雄氏 1938年、台湾・高雄県生まれ。早稲田大学商学部卒業、明治大学大学院修士課程修了。1994年巫福文明評論賞、台湾ペンクラブ賞受賞。主な著書に『日本人が知らない日本人の遺産』『韓国は日本人がつくった』など多数。近著に『日本人はなぜ中国人、韓国人とこれほどまで違うのか』。

Monday, October 15, 2012

KOREAN WHORES DEMAND HUGE TIPS DECADES LATER

http://whatdoyoubelieve.blog.fc2.com/blog-entry-905.html

KOREAN WHORES DEMAND HUGE TIPS DECADES LATER

Yoshida Yūto 吉田雄兎 (b. 1913.10.15) is a Japanese Communist novelist and former soldier in the Imperial Japanese Army. This Commie bastard has published under a variety of pen names, including Yoshida Seiji 吉田清治, Yoshida Tōji 吉田東司 and Yoshida Eiji 吉田栄司 Yoshida Eiji.

He ran as a Japanese Communist Party candidate in the 1947 Shimonoseki city council elections, but was defeated.

Thirty years after the US mass murders at Hiroshima and Nagasaki, this Commie scumbag, Yoshida, wrote "My War Crimes", which is the origin of the never-ending "Comfort Women" scam.

In a 1996 interview with the Shukan Shincho magazine, Yoshida confessed that his "war memoir" was a work of fiction; but this seems to have no affect on the scams it help launch.

Yoshida was stationed in Korea, then a colony of Japan, during World War II. In his fictitious "memoirs", he claimed that he had assisted police in kidnapping more than 2,000 women from various rur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to serve as "comfort women", or so-called "sex-slaves" for the Japanese Army (which included Japanese and Chinese soldiers.

In March, 1977, and in January, 1983, Yoshida fictitious memoirs about his fanciful exploits during the war were published in Japan. His 1983 fiction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Korea in 1989.
吉田清治 [Yoshida Seiji], 『朝鮮人慰安婦と日本人』 [Korean Comfort Women and Japanese People], 新人物往来社 [Shin Jinbutsu Ōraisha], Mar1977.
吉田清治 [Yoshida Seiji], 『私の戦争犯罪―朝鮮人強制連行』 [My war crimes—the forced transport of Koreans], 三一書房 [San'ichi Shobō], 1983. (Translated into Korean as 吉田淸治 요시다세이지 [Yoshida Seiji], 《나는 조선사람을 이렇게 잡아갔다 -나의 전쟁범죄 고백》 [I Kidnapped Koreans In This Manner: A Confession of My War Crimes], 청계연구소 [Cheonggye Yeonguso], 1989.)

Yoshida's books and a subsequent 1991 interview have been credited with bringing about an apology to Korea by Japanese Foreign Affairs minister Kōno Yōhei. ["Abe and the Comfort Women", Chosun Ilbo, Seoul: 2007.03.06.]

Yoshida's lies were promoted by Kikes in The United State.

E.g.:
[Kike] Sanger, David E., "Japanese Veteran Presses Wartime-Brothel Issue", [The Kike's] New York Times, 1992.08.08.

As Yoshida's lies became more widely read, he began to attract suspicion.

Hata Ikuhiko, a historian at Takushoku University, pointed to inconsistencies between Yoshida's 1977 and 1983 memoirs, and concluded that Yoshida's claims were actually fabrications.

South Korean newspaper interviews with residents of Jeju Island, where the forced recruitment allegedly took place, found no one who admitted to remembering a sweep through a button factory -- one of the incidents that Yoshida detailed in his 1983 memoirs.

On May 29, 1996, the weekly magazine Shūkan Shinchō published remarks by Yoshida made to them in an interview, in which he admitted that portions of his work were a pack of lies.

He defended himself by stating that, "There is no profit in writing the truth in books. Hiding the facts and mixing them with your own assertions is something that newspapers do all the time too".

In June 2009, Lee Yong Hoon 李栄薫 이영훈, a profess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rgued that Yoshida's false testimonies have spread throughout Korean society as if they were true, causing Koreans to whinge and moan about how their precious women were abused by the Japanese. Lee also teaches that Koreans' knowledge about Korea under Japanese rule is mostly based on the inventions and lurid exaggerations of post-war Korean educators, who have taught Koreans to behave like "The Jews of Asia".

In fact, "Comfort Women" were just common Korean hookers, in the pay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if they were "sex-slaves", that is because the practice was common in Korea, with many Korean men buying and selling such women and girls

Seoul University Professor on Comfort Women & Japan Bashing
mixwwwxim

Lee presses Japan to resolve 'comfort women' issue


Korean Comfort Women
http://www.youtube.com/watch?v=nk-vrHhEobk

http://english.yonhapnews.co.kr/national/2012/08/15/8/0301000000AEN20120815001652315F.HTML


(3rd LD) Lee presses Japan to resolve 'comfort women' issue
By Chang Jae-soon
SEOUL, Aug. 15 (Yonhap) --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urged Japan to take sincere steps to resolve long-running grievances over Tokyo's wartime sexual enslavement of Korean women, saying the act was a viola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historic justice."

Lee made the remarks during a Liberation Day address marking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s 1910-45 colonial rule, as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flared anew after his surprise visit last week to South Korea's easternmost islets of Dokdo, which Tokyo claims as its own.

Lee, however, made no mention of Dokdo in the speech.

Historians say that tens of thousands of Asian women, mostly Koreans, were forced to work at front-line brothels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Victims of sexual slavery have been euphemistically called "comfort women."

"Japan is a close neighbor, a friend that shares basic values and an important partner that we should work with to open the future. However, we have to point out that chain links tangled i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are hampering the common march toward a better tomorrow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s well as bilateral ties," Lee said.

"Particularly, the issue involving the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by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 goes beyond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e said. "It was a breach of women's rights committed during wartime as well as a viola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historic justice. We urge the Japanese Government to take responsible measures in this regard."



Lee has repeatedly stressed that the comfort women issue is becoming increasingly urgent as most victims are elderly, well over 80 years old, and may die before they receive compensation or an apology from Japan. Currently, there are only 60 victims alive.

Tokyo has been ignoring Seoul's demand for official talks on compensating the aging Korean women, claiming all issues regarding its colonial rule were settled in a 1965 package compensation deal under which the two countries normalized their relations.

Lee's trip to Dokdo, which was made Friday, has sharply raised tensions between Seoul and Tokyo. It was the first time that a South Korean president has ever visited the islets lying in the East Sea around halfway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Lee has said he decided to make the trip to show through action that Japan needs to sincerely atone for its past wrongdoing, and that lack of progress in efforts to resolve colonial-era issues has kept South Korea from fully opening its heart to Japan and mov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ward.

On Tuesday, Lee said Japan's emperor should sincerely apologize for the country's colonial rule if he wants to visit South Korea, and that he "does not need to come" if he is going to offer an insincere apology couched in vague language, recalling the hard-to-understand, ancient wording Emperor Akihito used in his 1990 apology.

Japan has strongly protested against Lee's visit, urging South Korea to agree to take the issue to the international court for settlement. South Korea has flatly rebuffed the suggestion, saying it makes no sense to refer what is clearly the country's territory to the court.

In what appears to be a tit-for-tat argument, two Japanese cabinet members and about 50 lawmakers paid their respect at Tokyo's Yasukuni Shrine on Wednesday, a move that South Korea, China and other Asian nations have resented because such visits are considered to glorify Japan's imperialistic past.

It was the first time that Japanese cabinet members have visited the shrine since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rose to power in September 2009.

South Korea expressed regret, calling the visit "irresponsible."

Also Wednesday, Japanese Foreign Minister Koichiro Gemba said Tokyo has lodged an official protest with South Korea over Lee's remarks on the country's emperor. Japan's Prime Minister Yoshihiko Noda also said he "cannot understand the remarks."

"It is regrettable," Noda said, according to news reports.

Tokyo has long laid claims to Dokdo in school textbooks, government reports and other ways.

South Korea has rejected the claims to Dokdo as amounting to denying Korea's rights because the country regained independence from colonial rule and reclaimed sovereignty over its territory, including Dokdo and many other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oreans also view the claims as a sign Japan has not fully repented for its imperialist past.

South Korea has kept a small police detachment on Dokdo since 1954.

Lee said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make preparations for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The ultimate consummation of our liberation consists in national unification. National reunification will be the springboard of a truly greater Republic of Korea," he said, referring to South Korea's official name.

Lee urged Pyongyang to give up its nuclear programs, embrace reform and open up to the outside world, saying the South is prepared to help the impoverished nation. Lee also said the South is open to dialogue with the communist nation.

"Pyongyang has also come to a situation where it has to look straight at reality and consider a transformation," he said. "We will carefully watch for the possible changes."

Lee called for support from across the society to overcome economic difficulties, saying the situation triggered by the eurozone debt crisis is more serious than anticipated, and it could take more time than originally projected for the global economy to turn around.

"In addressing the current global crisis, the government efforts alone will not suffice," Lee said. "Collaboration of all economic entities, including businesses, is urgently needed. Business leaders are well advised to continuously increase investment and employment without being intimidated."

Lee said his administration will do its best to energize the economy and stabilize the livelihoods of ordinary people.

"A politician has a fixed tenure, yet the duties of taking care of the economy and everyday lives of the public must continue without stopping," he said.

jschang@yna.co.kr



http://rokdrop.com/2012/08/15/president-lee-criticizes-japan-over-handling-of-comfort-women-issue/

By GI Korea on August 15th, 2012 at 7:38 am
President Lee Criticizes Japan Over Handling of Comfort Women Issue
» by GI Korea in: Japan
It looks like President Lee is out helping his political party before this year’s election by once again pulling the bash Japan card and with the Dokdo and comfort women issue it is so easy to do: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urged Japan to take sincere steps to resolve long-running grievances over Tokyo’s wartime sexual enslavement of Korean women, saying the act was a viola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historic justice.”

Lee made the remarks during a Liberation Day address marking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s 1910-45 colonial rule, as t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flared anew after his surprise visit last week to South Korea’s easternmost islets of Dokdo, which Tokyo claims as its own.

Lee, however, made no mention of Dokdo in the speech.

Historians say that tens of thousands of Asian women, mostly Koreans, were forced to work at front-line brothels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orld War II. Victims of sexual slavery have been euphemistically called “comfort women.”

“Japan is a close neighbor, a friend that shares basic values and an important partner that we should work with to open the future. However, we have to point out that chain links tangled i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are hampering the common march toward a better tomorrow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s well as bilateral ties,” Lee said.

“Particularly, the issue involving the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by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 goes beyond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e said. “It was a breach of women’s rights committed during wartime as well as a violat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historic justice. We urge the Japanese Government to take responsible measures in this regard.” [Yonhap]




You can read more at the link.

Tags: comfort women, Japan, Korea
- 215 views
Related Posts
Should the “Comfort Women” Be Called Enforced Sex Slaves?
Japanese Government Official Claims Comfort Woman Statue In Seoul Is Illegal
Picture of the Day: Comfort Woman Memorial
Japan Will Not Discuss War Time Sex Slave Issue With South Korea
Site Selected For Comfort Women Museum
21
Teadrinker
6:23 am on August 15th, 2012 1
Didn’t you link to an article yesterday that mentions that it’s traditional for South Korean presidents to make such statements on August 15th?
Stephen
7:35 am on August 15th, 2012 2
Our Chinese client asked one of my employees what he thought of Lee Mingbo (AKA Lee Myeong-bak).
“I hate him. I think he was really born in Osaka.”
Lee isn’t fooling anyone. The journalists are all paid poodles of Lee.
Dr.Yu
7:45 am on August 15th, 2012 3
If only Japan stop provoking Korea, we would just let it go and forget all those things, but they keep claiming korean territory and offend the memory of the victims of their atrocities from time to time …. Most Koreans reactions are emotional response to japanese provocations but I´m sure most koreans would rather get along with them as good neighbors. I have wonderful japanese friends and dont care about japanese colonization when I´m with them, and I´m sure our governments could do the same should japanese government stop provoking korea as they always do …
Tom
10:17 am on August 15th, 2012 4
I have no problems with the Japanese either. Like Americans, they look down on Koreans, but unlike Americans they do it privately away from Koreans. I think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Japan had wiped out the American naval forces at Pearl Harbor. The history would be different today and Asia would be for Asians with no American involvement. It was America who started the war on Japan by putting in place the oil embargo, forcing Japan to act. The Pearl Harbor was not a sneak attack, it was a strategic first strike.
Dr.Yu
11:10 am on August 15th, 2012 5
Tom, please try harder …. you attempt to bash the americans its not even funny these days …
Kingkitty
11:45 am on August 15th, 2012 6
Good Job Tom
Teadrinker
6:16 pm on August 15th, 2012 7
“I hate him. I think he was really born in Osaka.”
He was born in Osaka, as were many other Koreans because their parents were brought there to work as slave/cheap labor. His family moved back as soon as South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He was only 4. As president of the student council of Korea University, he was sentenced to 3 years in jail for insurrection for organizing protests against Park Chung-hee’s signing of the restitution agreement with Japan and served 3 months of his sentence in Seodaemun Prison (yes, the very jail where anti-colonial activists were jailed by the Japanese).
But, yes, the guy is obviously pro-Japanese because he spent his early childhood there.

Either you have morons working for you or your employee was saying what he or she thought the client wanted.
Teadrinker
6:20 pm on August 15th, 2012 8
#3,
Deep down inside, most Koreans don’t care. It’s the vocal minority, the ones brainwashed by jingoism, that make you think that they do (and forces the others to feel obliged to care).
kushibo
9:40 pm on August 15th, 2012 9
Teadrinker, they came back not as soon as Korea was liberated but, possibly, as soon as they could. 2MB was born in 1946.
Teadrinker
3:36 am on August 16th, 2012 10
#9,
I read he was born in 1941 and his family returned in 1945.
South Korean singer swims into island dispute with Japan – CNN | MaritimeSecurity.Asia
12:04 pm on August 16th, 2012 11
[...] Source South Korean singer Kim Jang-Hoon (R) swims in the sea off Uljin, 225 kms southeast of Seoul, on Au…ng more than 40 swimmers who are part of a politically-charged relay team swimming from South Korea to the contested islands of Dokdo, or Takeshima as they're known in Japan." border="0" height="360" class="c4" width="640" />South Korean singer Kim Jang-Hoon (R) swims in the sea off Uljin, 225 kms southeast of Seoul, on August 13, 2012. He's among more than 40 swimmers who are part of a politically-charged relay team swimming from South Korea to the contested islands of Dokdo, or Takeshima as they're known in Japan. South Korean singer Kim Jang-Hoon (front) and members of a swimming club pose for a group photo before embarking on a 55-hour-long relay swim to the contested islands. They're due to arrive on Wednesday, August 15, the 67th anniversary of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South Korean President Lee Myung-Bak points through the window of a helicopter at the remote islands disputed with Japan on August 10, 2012. It was the first visit by a South Korean president to the islands, which prompted Tokyo to recall its ambassador from Seoul in protest. An aerial view of the remote islands disputed with Japan taken on August 10, 2012. According to a South Korean website on the islands, Dokdo has a population of three and amid the craggy rocks sit a lighthouse, lodge, helicopter landing pad, and a police station manned by South Korean officers. South Korean midfielder Park Jongwoo fights for the ball during the bronze medal football match the London Olympics, August 10, 2012. The IOC withheld Park's medal after he held a banner asserting South Korea's ownership of the contested islands during post-match celebrations. HIDE CAPTION Asian island dispute Asian island dispute Asian island dispute Asian island dispute Asian island dispute << < 1 2 3 4 5 > >> STORY HIGHLIGHTS South Korean singer Kim Jang-hoon leading dozens of swimmers to Dokdo or Takeshima [...]
Stephen
8:28 pm on August 16th, 2012 12
Teadrinker
6:16 pm on August 15th, 2012 7
“I hate him. I think he was really born in Osaka.”
But, yes, the guy is obviously pro-Japanese because he spent his early childhood there.
Either you have morons working for you or your employee was saying what he or she thought the client wanted.
It was prefaced by a discussion on the Gu Kailai case. Faux nationalism being a common tool of political opportunists such as her hubby Bo Xilai and Lee Mingbo.
Teadrinker
6:20 pm on August 15th, 2012 8
#3,
Deep down inside, most Koreans don’t care. It’s the vocal minority, the ones brainwashed by jingoism, that make you think that they do (and forces the others to feel obliged to care).
See above. Plus no one stops the crazy jingoists, just as no one stops any crazy behavior.
Back in 2002, on the subway some boy and his mate walked up to me with a poster and the usual derogatory remarks of that time. When I replied to his antics in Korean he hopped off at the next station pronto.
After that, an old guy comes up to me and says, “Don’t worry about them. They’re just Seoul National students.”
i.e. I should ignore them like everyone else … which is not the same as condoning jingoistic behavior, just a passive resistance.
Seguing back to resistance to Lee Mingbo, I have noticed several acquaintances have literally started to count down the days until he is awarded the Order of the Constitutional Boot.
Tom
8:32 pm on August 16th, 2012 13
Everyone has the 2002 horror story. I guess when you keep saying it happened, you can convince yourself that it really did happen.
Teadrinker
9:07 pm on August 16th, 2012 14
#12,
“Plus no one stops the crazy jingoists, just as no one stops any crazy behavior.”
Nobody ever does anywhere, really. Hence, my comment stands.
Besides, that doesn’t answer why your employee said that. I would be willing to bet that he or she said what your Chinese client wanted to hear. Only the young tend to be blindly idealistic and nationalistic (as your anecdote clearly suggests).
Teadrinker
9:21 pm on August 16th, 2012 15
#13,
Yes, Tom, Korea existed before you were able to place it on the map, and there was a time when some Koreans (mainly easily impressionable youth) were openly aggressive towards Americans and anyone who seemed American to them.
It might come as a surprise to you, since you know very little about Korean history, but South Korean politicians have been manipulating young people since the 40′s. Read up on Prime Minister/General Lee Bum Suk/Yi Bom Sok’s fascist Blue Shirts for starters. He famously said during an interview with Time, “We base our instruction on the German youth movement because Germans are the only people who really know how to organize young men.” I could go on about him and the influence he’s had on Korean nationalism, but you get the picture.
Teadrinker
9:24 pm on August 16th, 2012 16
…and yes, he also organized one of the anti-communist prisoner groups at the infamous Koje Island POW camp.
Stephen
9:26 pm on August 16th, 2012 17
Teadrinker
9:07 pm on August 16th, 2012 14
#12,
I would be willing to bet that he or she said what your Chinese client wanted to hear.
He said what he believed, which is that Lee Mingbo is a faux nationalist.
The scoundrel known as Lee Mingbo is the worst president in Korean history for:
(1) USD 22 billion washed downriver
(2) 4% of households now insolvent
(3) foreign affairs faux pas
My employee (1) has heard of Samuel Johnson, he may even have read The Patriot and (2) was lamenting the debt levels in Korea during the same conversation.
Ergo 1 + 2 = ?
Teadrinker
10:40 pm on August 16th, 2012 18
#17,
“He said what he believed, which is that Lee Mingbo is a faux nationalist. ”
I don’t disagree that his Four Rivers Project was a huge scam designed to funnel our taxes into the coffers of a particular construction company…But a pro-Japanese because of his country of birth? Come on.
Jerry Foley
2:06 am on August 22nd, 2012 19
Why is that we so much about this but the country continues to let prostitution flourish now? Is it not hte same thing? I mean how about cleaning up this mess instead of complaining about what someone else did over 50 years ago.
warrior6
5:56 pm on August 27th, 2012 20
[Deleted by admin]
Seoul Guy
8:07 pm on August 27th, 2012 21
#19, American porn industry is bigget in the world AND you have more prostitute per capita than South Korea does. Japanese have the bigget sex industry outside of Amsterdam and Bangkok. Angeles City isn’t so far behind either.
Where do you and idiots like you get this idea that Korea as what you think it is. Don’t act like you know Korea at all.

'the 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definitive history by Pr.Lee Young Hoon


http://blog.daum.net/kmb2274/11409695

<이영훈 사학의 결정판 '대한민국 이야기'>
이영훈(李榮薰Lee Young-hoon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5/30/2007053000811.html




이영훈 사학의 결정판 '대한민국 이야기'
“’민족’ 대신 이기심 갖춘 인간 개체를”
연합뉴스
Url 복사하기
스크랩하기
블로그담기



서울대 경제학과 이영훈(李榮薰. 56) 교수는 논란이 가장 많은 국내 연구자 중 한 명이다. 그리고 그 논란의 대부분은 비난 일변도다. 그를 지칭하는 많은 표현 중 ’식민지근대화론자’는 ’식민지배 찬양론자’에 비해서는 그래도 후한 말이다.

이런 그가 최근에 내놓은 ’대한민국 이야기’(기파랑)는 ’이영훈 사학’의 결정판이라 할 만하다.

이번 단행본은 그의 어떤 글보다 쉽게 읽히고, 분량 또한 200자 원고지 1천장이 채 되지 않는다. 나아가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강의’라는 부제는 이번 책이 그 자신이 편집인 중 한 명으로 참가해 기획한 한국근현대사 총서인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이하 재인식)의 해설판임을 암시한다.

하지만 이 교수 개인으로서는 당분간 이번 책을 뛰어넘을 만한 업적을 내기 힘들다고 할 만큼, 그의 모든 것을 쏟아붓고자 한 흔적이 감지된다. ’재인식’에 수록된 다른 연구자의 논문을 참고해 해설하기도 하지만, 그것들을 한데 녹여 자신만의 역사철학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주물하고자 한다.

전편을 관통하는 가장 큰 줄기는 민족주의에 대한 격렬한 혐오감, 그러면서도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절절한 애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일견 모순된 듯한 자세 때문에 그를 ’국가주의자’ 혹은 ’사이비 탈민족주의자’로 규정하는 사람도 많다.

이에 대해서는 “국가가 중요하다는 주장을 어찌 국가주의로 오독하는가”라고 되묻는다.

이 교수는 민족주의가 한국사회에 초래한 재앙의 대표적 사례로 ’일제수탈론’을 제기하면서, 그 허구성의 예로 대표적인 민족주의자 단재 신채호가 1923년에 쓴 ’조선혁명선언’을 들이댄다.

단재는 “강도 일본”이 저지른 만행들로 토지세ㆍ가옥세ㆍ인구세ㆍ가축세ㆍ지방세 등의 각종 잡세를 신설한 사실을 거론했으나, 이는 “죄다 공권력에 의한 공적 통치행위의 영역”에 속할 뿐이지 수탈 항목이라고 규정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식민지배가 가져온 엄청난 변화 중 하나로 완전한 신분해방을 꼽는다. 예컨대 1905년 을사조약 이후 경북 예천군 맛질이란 농촌의 한 양반이 남긴 일기에서 발견되는 “동리의 상놈(常漢)들이 양반을 칭하고 옛날 호칭은 간데 없고 (양반과) 다툴 때는 상말을 하니”라는 구절이 그것이다.

나아가 식민지배 치하에서 이른바 친일부역배 상당수가 종래 조선왕조에서는 ’상놈’이나 마찬가지로 지배계층에게 천대받던 중인 출신이라는 점을 주목한다.

중인이나 상놈의 시각에서 본다면 신분해방이 도래한 식민지시대는 실로 살맛 나는 세상일 수도 있다. 이렇게 보면 중인층 출신이 다수를 점한 소위 친일파도 다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식민지 조선이 비약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했으며, 그에 따라 사회전반의 생활수준 또한 상승한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실상 ’이영훈 사학’의 가독성은 이 지점까지다. 이 대목까지만 읽은 많은 독자가 책을 덮고는 대뜸 “결국 식민지배는 한국에 축복이었다는 말이군”이라고 분개하고 말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교수는 정말로 ’식민지배 찬양론자’일까?

“식민지근대화론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일제의 조선지배를 미화한다고 여기고 있습니다만 천만의 말씀”이라는 그는 “진정한 의미의 수탈과 차별이 (식민치하에서)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벌어졌는지를 제대로 보자는 것이 식민지근대화론”이라고 답변한다.

식민치하를 ’선량한 조선’을 ’강포한 일본’이 ’친일파’를 앞세워 유린한 시대였다고만 규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역사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강조한다.

이런 이해는 흔히 불완전한 국가로 간주하는 대한민국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 교수에게 대한민국은 그 자체로 완결된 구조를 갖는 사지 멀쩡한 생물체에 다름 아니다.

이 과정에서 역사의 주체로 오랫동안 자리한 ’민족’을 축출하는 대신, 그 자리에 ’분별력 있는 이기심을 본성으로 하는 ’인간 개체’를 내세운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모습으로 그리던 식민지시대만 해도 다양한 인간군상이 꿈틀대던 사회로 그려낼 수 있다는 것이다.

요컨대 이영훈에게 역사는 양자택일을 요구하는 물음이 아니라 서술형 논술인 셈이다. 326쪽. 1만3천원.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3100000/2005/04/003100000200504271158590.html



이영훈 교수, “북한 경제는 무계획의 명령경제”


"북한경제를 계획경제라 규정하고 오늘날 북한경제의 쇠퇴를 계획경제의 비효율성에 그 원인이 있는 것처럼 교과서는 쓰고 있다." 그러면서 서울대 경제학과 이영훈(李榮薰.53) 교수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그렇지만 북한은 엄밀히 말해 사회주의적 계획경제가 아니다.

그에 관한 최신의 국제적 연구를 참고하면 북한은 수령의 현장지도가 대표하는 '무계획의 명령경제'였다.

이처럼 현행 사회과 교과서는 북한의 실태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가운데 남북통일을 지나치게 안이하게 낙관하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다소 생뚱맞게 생각되는 이런 주장을 그는 왜 들고 나왔을까? "(남한의 한 사회과 교과서)에 따르면 북한의 계획경제는 1970년대까지 8% 내외의 성장을 보이다가 이후에도 2-3%의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나 1990년대부터 마이너스성장으로 돌아섰다고 소개하고 있다." 자세한 수치는 모르지만 이 교과서뿐 아니라, 현재 우리의 통념 또한 이런 교과서 기술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북한이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경제력이나 경제성장에서 남한을 앞섰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이 교수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필자는 이러한 성장률 수치를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그 근거가 엄격히 물어진적이 없고,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무책임하게 서로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막연하기짝이 없는 수치를 교과서에 그대로 옮겨도 좋은지는 참으로 의문이다." 대신 북한에서는 "애당초 계획경제의 의지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이 교수는 그근거로 "계획경제는 불가피하게 계획을 입안하는 경제관료에 의한 수령 권력의 제약을 의미하지만 북한의 수령은 그것을 원치 않았으며, 그는 그가 통제할 필요가 있는전략적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고 하부에서 자체 해결하도록 하는 독특한 '명령경제체제'를 만들어 냈을 뿐이다"고 하고 있다.

이를 발판으로 이 교수는 "전근대적 공납체제와 긴밀히 결합된 무계획 명령경제가 자율적인 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하는 것은 어느 마음씨 좋은 후원자가 비용을 듬뿍부담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는 말로 통일론에 대한 경각심을 촉구한다.

지난 1월25일 1차 학술대회에 이어 29일 오후 2시 서울 서소문 명지빌딩에서 개최되는 '교과서포럼' 주최 제1차 학술대회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그려진 현대 한국경제와 사회'에서 주최측이 미리 배포한 이 교수 발제문은 이렇게 끝맺고 있다.

여기서 이 교수는 현행 고교 사회과 교과서 8종 중 경제 관련 서술만을 분석한결과 "당초 생각한 것보다 기대 이상의 (높은) 수준"임을 전제하면서도 그것이 지닌문제점도 적지 않음을 거론한다.

예컨대 교과서들은 한국경제가 △저임금에 기초한 성장론 △대기업 중심 성장론△농촌경제 희생론 △지나친 소득격차론 △정부의 지나친 시장 개입론을 주장하고있으나 이런 견해는 잘못된 통계수치나 막연한 믿음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1960년대 이래 지금까지 임금의 증가율과 노동의 한계생산성 증가율은기본적으로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한국 농업은 외려 지나친 보호를 받는 바람에 가격 상승률이 공업제품을 앞서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교과서는 정부가 경제에 개입함으로써 시장의 자율적 기능을 훼손했다고주장하고 있으나 "1960년대초 당시에는 그 기능이 왜곡당할 만한 자본시장 자체가한국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다"고 이 교수는 지적한다.

(서울/연합뉴스)



Saekdong,colorful jeogori

http://damurukobokorea.blog.fc2.com/blog-entry-75.html

セクトン(색동;色動)の由来

↑ 女の子のセクトンチョゴリ~

安丘山という研究者が1965年に書いた「セクトンチョゴリ(색동저고리)」という論文によると、セクトンは韓国女性の象徴だと言っています。1月の正月、5月の端午、8月の秋夕など、名節の時期ごとに子どもから成長した少女までが着るセクトンチョゴリによって、韓国人は名節の実感を少なからず得ていると思われます。つまりセクトンは韓国の名節を象徴する衣服と言え、韓国固有のものだという特徴と自負を持っているといえるでしょう。


↑ 男の子のセクトンチョゴリ~

けれども実際にセクトンチョゴリに対する記録は残されていません。ただ民謡のように口伝で伝えられてきたのではないかと考えられているそうです。高麗時代の中ごろに中国の宋から緋緞(シルクの布)が入って来たのですが、当時は王の許可なく一般人がこの布を使うことが禁止されていました。しかし王が下賜した布で衣服を縫うと、自然に切れ端(조각)が出てしまい、その切れ端を捨てることなく集めて、子どもの衣服を作ったという話がセクトンチョゴリの始まりではないかと考えられています。


↑ 友人の娘さんへのお土産に買ったセクトンチョゴリ~。何と帽子とチュモニをおまけしてくれましたぁ~!!ラッキー!!

セクトンチョゴリについて知っておか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もあります。韓国人でも意外と知らない人が多いのですが、子どもたちに着せるセクトンチョゴリを作る時、男の子の袖には藍色の縁取りを付け、女の子の袖には紫色の縁取りを付けることが通例となっています。


↑ 男の子のセクトンチョゴリ~。これは人形が着るセクトンチョゴリです…。


↑ これも男の子用~。本当は男の子のセクトンチョゴリの袖は上の人形の服のように藍色の縁取りにしないといけないのですが、現在ではその辺りのことは忘れられていることも多いとのこと。広蔵市場の子供用韓服の店でもしきたりに沿っていないセクトンチョゴリが沢山ならんでいるそうです~。でもどれも可愛いですけどねぇ~。

チマチョゴリは朝鮮時代になると、色によってその身分や状態を表すようになりました。例えば、セクトンを着ている者は幼い子どもと認識されています。結婚前の女性は真紅のチマに黄色のチョゴリ、新婦は真紅のチマに黄緑色のチョゴリを着ることになっていました。他にも結婚後の婦人は紺色のチマに玉色(=翡翠色・空色)のチョゴリ、さらにチョゴリの袖先が藍色をしていたら息子がおり、紫色なら旦那がいるということを示していたといいます。


↑ もちろんセクトン用の生地屋さんも沢山ありますぅ~

また王家や名門勢道家(政治権力を持った家)などでは、セクトンに金箔の模様を入れることができました。けれども壬辰倭乱(←文禄・慶長の役)以降は、両班階級の家が増えることによって、富裕層ならば金箔を入れることが一般化していったそうです。








↑ 色々な種類のセクトンがあるんですねぇ~。

the fifth class supplies,Women,Korean War

http://hazama.iza.ne.jp/blog/entry/1470891/

第五種補給品の女たち【朝鮮戦争】
2010/02/21 23:57




もう少し、李栄薫の本から引用しよう。朝鮮戦争の時にも「慰安所」は存在した。第五種補給品とも呼ばれた女たちを利用したのは、ア|メリカ兵と韓|国兵だった。
ソウル、春川、原州、江陵、束草などに慰安部隊が設置されていました。ソウルの慰安所は、現在中区にあるペク病院から双龍ビルへ行く坂道にありました。公式報道によれば、1952年にソウルの三か所と江陵の一か所に収容された慰安婦は全部で89名だったといいます。そして、その年に慰安所を訪れた兵士の総数は20万4千名あまりとされ、慰安婦一人当たり一日平均6名という勘定でした。私が会うことができたある従軍経験者の回顧によれば、春川の昭陽江(ソヤンガン)の川辺にはいくつもの天幕が張られており、兵士たちがずらっと列をなして順番を待っていたといいます。日本軍の兵士たちが慰安所の前で列をなしていた光景と、少しも変るところがないと思われます。

これ以外にも各部隊は部隊長の裁量で、周辺の私娼窟から女性たちを調達し、兵士たちに「補給」したのですが、部隊によっては慰安婦を「第五種補給品」と言っていました。私はその「補給品」をトラックに積んで前線を移動して回った元特務上等兵に会ったことがあります。彼によれば、慰安婦を前線まで連れて行くのは許可されたこと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にもかかわらずドラム缶に女性を一人ずつ押し込んでトラックに積み込んで前線まで行ったといいます。夜になると「開店」するのですが、ア|メリカ兵も大いにこれを利用したということです。

大韓民国の物語 李栄薫

李栄薫は、1956年に陸軍本部が編纂した戦史を引用して、「慰安所制度を導入した日本軍の思惑とほぼ同じ」と指摘する。

士気昂揚はもちろん、戦争という事実に伴う避けることの出来ない弊害を未然に防ぐことができるだけでなく、長期間にわたる報われない戦闘によって後方との行き来が絶えているため、この性に対する思いから起こる生理作用による性格の変化などによって鬱病、その他の支障を招くことを予防するために、本特殊慰安隊を設置させた。

後方戦史(人事篇)1956年

なお、毎度ながら、ここで吉見義明に登場してもらおう。吉見は日本軍が慰安所を設置した理由の一つとして、[1]このような理由を挙げている。
日本が開始した戦争は、大義名分のない侵略戦争であり、また、勝利の見通しのない無謀な戦争であった。このような戦争に、休暇制度も不十分なまま、長期間戦場に将兵を釘づけしておくために、性的な慰安が必要だと日本軍は考えたのである。

従軍慰安婦 P.52

いや、たぶんそれ、日本軍と「日本の戦争」を徹底的に否定したいという願望が彼の脳内で勝手に補完している。 それから、李栄薫は「女性を調達」 と書いているが、日本の左派なら、ここは「連行」という言葉を使うところだろう。もちろん李教授は常識人だから、そんな強引な言い方はしないが・・・。
日本軍が慰安所を設置したのは、そしてそれはどこの国でもそうだろうが、韓|国軍と本質的に同じ理由からだろう。



[注1] この吉見理論は、そのまま Wam 女たちの戦争と平和資料館のQ&Aで使われいる(もともと彼女たちは吉見理論にほぼ全面的に依存している)。魚拓

「第3に、いつ終わるかもわからない、しかも何のために戦っているのかもわからない大義名分もない戦争で、兵士の精神はすさんできます。しかも休暇制度もなく兵士たちは長期間、戦場にとどめられます。こうした兵士たちはむやみやたらと略奪強かん、殺人をおこなうようになります。そうした兵士をなだめようとしたことも一つの理由としてあげられるでしょう」

Thursday, October 11, 2012

the testimonies of Japanese comfort women

http://www.tamanegiya.com/nihonnjinnniannfu20.8.27.html

日本人慰安婦の証言

稼ぎについて
平成20年8月27日水曜日晴れのち雨 ○
「教科書から消せない歴史」(久保井規夫著 明石書店 一九九七年)には、<確かに朝鮮人女性の日本軍「慰安婦」は多数であったが、日本人の日本軍「慰安婦」が少なからず存在していた事を抹消してはならない。>P一八九~一九一
と書かれているが、慰安婦で一番多かったのは日本人であることは、秦氏などの研究により明らかになっている。
そして、久保井氏は
<自発的に「慰安婦」になって、大金持ちになった朝鮮人女性の事例等未だに聞いた事もない。聞こえてくるのは、日本軍によって「性奴隷」そのものの過酷な使役を強制され、戦場を引き回された女性の悲劇しかない>p一六四
と書くが、慰安婦という商売が、当時として短期間で大金を金稼ぐ事ができた事は事実であり、不幸な事に故郷への帰還が遅れ、すべてを無くした人もいるだろうが、それは他の事業をおこなっていた日本人も同じである。
この本を書いた時(一九九七年)に、大阪府摂津市立第二中学校で教論をやっていたという久保井規夫氏のこれらの記述がいかにデタラメかということは、朝鮮人慰安婦が元の郵便貯金返還裁判をおこしたり、日本人慰安婦の他の本に出てくる証言が証明している。
朝鮮人の嘘つき戦時売春婦の証言?とやらが多いですが、人数では一番多かった我が国の慰安婦について書いている本は少ないです。

その少ない日本人慰安婦について書いたものは私の手元にあるものでは、「従軍慰安婦・慶子」(千田夏光著 クラブハウス 二〇〇五年復刻 初版は光文社 一九八一年)、「慰安婦たちの太平洋戦争」(山田盟子著 光人社一九九一年刊)「続・慰安婦たちの太平洋戦争」(同 一九九二年刊)、「従軍慰安婦」(山田盟子著 光人社 一九九三年刊)、そして、「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広田和子著 人物往来社 一九七五年刊)です。
このうち、今まで取り上げたことのある千田夏光氏と山田盟子氏の著書は他の「日本人は朝鮮人慰安婦にあやまれ」と騒いでいる連中が多く引用しておりますが、不思議とそれより以前に出された「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はあまりそのような人たちから話題にされません。その「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には貴重な日本人慰安婦の証言が本名と偽名でひとりずつ掲載されています。
ただ、著者は今だったら、嘘とわかっている朝鮮人慰安婦の恥ずかしい証言である「現代」一九七二年四月号に掲載された「ある朝鮮慰安婦の記録」金春子著も何の検証もなしにそのまま引用して書いているような人ですが。

以下、その「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より、芸者菊丸さん、本名山内馨子さん(大正一四年青森県生まれ)についてです。
山内さんは、一〇歳のときに芸者置屋の仕込っ子として東京に売られ、一九四二年三月、満一八歳の時に、西小山で芸者をしているとき、置き屋の借金を肩代わりしてくれるということで、朋輩と二人でトラック島に渡る。
その山内馨子さんの証言として
「あの当時で四千円近い借金があったの(葉書が二銭のころ)。芸者というのはお金がかかるのよ。着物一枚買うにも借金だし、踊りや三味線も習わなきゃならないでしょ。お座敷に出るときには島田に結うの。蕕つけだとか、元結、たて長など使うので、結う旅に一円近くかかってしまう。だから借金は増えるばかりだったわ」p一九
「契約は一年半。略)働いたお金は四分六分で四分が自分のもの、略」帰国したときに、借金を返したあと一万円くらい残ったかしら」p二四
つまり、この山内馨子さんという慰安婦は当時で四千円近い借金があったが、一年半働いたのち、借金を返したあと一万円くらい残った。
そして、野口幸一氏という日本兵だった方の証言として、五百円の前借金が抜けないでトラックに来た慰安婦が、その金を三カ月で返したという証言や、仮名ながら、一年で前借金の二千三百円を返しただけでなく、一万円の貯金ができていたという証言が掲載されている。

朝鮮人売春婦のウソにも書きましたが、文玉珠という朝鮮人戦時売春婦は訴状では「慰安婦として働いて、ためた一万五千円のうち五千円を実家に送った」となっています。
更に文玉珠は戦前の日本円で二万六千円の多額の貯金を持っていたことが明らかになり、一九九二年五月十二日の毎日新聞に、文玉珠の預金通帳についての記事が載っている。その通帳によれば、一九四一二年から一九四五年の間十二回振り込みがあり、その預金残高は二万六一四五円に上っている。これは今の金額にすると数千万円に相当する。当時日本軍の陸軍大将の年俸は六千六百円だった。従って文玉珠は陸軍大将の約二倍稼いでいたことになる。
また元海軍中佐重村実氏は彼女らの前借金が四千円から五千円であったと言っている。そして彼女らはこの前借金を三カ月から半年で返し、平均的な貯蓄額は五~六千円から一万円持っていたと言っている。その中には三万円も持っている人も居て、皆驚いていた。という証言が正しかった事がわかります。
アメリカの反撃が予想以上に早く、彼女らの中には爆撃で死んだ人も居た。また前借金の返済が終わったにもかかわらず、船がなくて帰ることが出来ず、前線で亡くなった人も居る。しかし終戦と共に彼女らの大半は日本に帰った。千田夏光の『従軍慰安婦正篇』には一九三七年(昭和一二年)位の話として、内地にて前借金千円で集めたとしている。そして彼女らは遅くても数カ月で借金を帰し、自由の身になったが誰もこの商売を止めなかったと書いている。

慰安婦と軍人の給金の比較
ちなみに、2万6千円とは、当時では家が数件も買えた金額だそうです。、これが、虐待されたと騒いでいる朝鮮人自称慰安婦の実態です。何度も書きますが、この朝鮮人たちは仕事として売春婦だっただけなのです。
そして、いくら大金を稼ごうと、その金が身につくか、つかないかは別問題です。この「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にでてくるお二人の元慰安婦の場合も同じです。芸者菊丸さん、本名山内馨子さんは四十代後半の若さで自殺してしまいましたが、その時にはアパート代も払えなかったそうです。 
だからといって、慰安婦がお金を稼げなかったことにはなりません。それはいつの時代でもそれはいえると思います。日本人慰安婦の場合も朝鮮人慰安婦の場合も同じです。ただ、平気で嘘を言って老後を生きているかどうかの違いだけです。
ちなみに偽証罪で起訴された南朝鮮人は二〇〇〇年の場合一一九八人で同年の日本人は五人であり、人口などを考慮した場合、六七一倍という南朝鮮のニュースがあったほどです。強姦、放火、売春、捏造などといっしょに嘘も朝鮮の国技の一つとネット上では評判???「朝鮮の国技 売春」

現在も多くの朝鮮人女性は我が国において売春で稼いでいます。これも無理矢理連れられてきて、イヤイヤながら働いているのでしょうか。「売春輸出大国朝鮮」

日本人慰安婦の証言 その2 待遇について
8月29日金曜日晴れ時々雷雨
同じく、「証言記録 従軍慰安婦・看護婦 戦場に生きた女の慟哭」(広田和子著 人物往来社 一九七四年刊)よりの引用です。筆者は徳間書店「週刊アサヒ芸能」の週刊誌記者として山内馨子さんを取材。それに連載された山内馨子さんの手記よりの引用として
<「あたしは士官用だったから、お相手させていただいてる方々と同等の食事ができました。赤飯の缶詰め、肉、野菜、なんでも豊富にありました。果物は本場だから新鮮なものがすぐ手に入る。それに、カナカ族が朝六時からお風呂をわかしたり食事のしたくを手伝ったりしていたから、あたしたちは何もしなくてもいいんですよ。司令官がくるときは前もって連絡がありましてね。クルマが玄関に横付けされ、従兵たちはそこで帰されるんです。司令官は茶道が趣味で、いつもお茶道具持参なの。炭火をおこしてたてるんです。あたしね、お点前が嫌いなの。畳の上にかしこまって座って『結構なお点前で』なんていわなきゃいけないでしょ。早く帰ってくれないかなあって、いつも思うんだけど、なかなか帰らないの。でもその後が楽しかったのよ。缶詰めを開けてスキヤキしたり。そうして、帰る頃になると、またちゃんとクルマが迎えにくるんです」
略)
当時のトラック島司令官は武田盛治中将。戦後は戦犯として虜囚の身にあったが、その後、大阪で大きな材木商を営み、数年前に死去。菊丸さんはこの司令官に可愛がられた。「仕合わせな時代にめぐりあった、懐かし人です」と菊丸さんはいう。「仕合わせな時代」ーーーー菊丸さんは、当時の自分の置かれた立場をこういった。>P二五~二六

<昭和一七年三月一七日が日本を発った日です。あのころの私たちは愛国心に燃えて、若さもあり、日本の為また陛下のためと頑張りました。今日の若き人が聞いたら笑うことと思います。また女性が話し合うことでしょう。
略)
士官用の部屋は三三室あったかしら。
略)
日用品は一カ月一度配給。ちり紙、便せん、封筒、はんかち、石鹸、脱脂綿。煙草は士官連中が持ってきてくれる。「光」を。一カ月の働きが六百円か七百円。陸上の士官が一カ月分先払いする。又ある中将は来てお茶をたてる。少々窮屈であった。昼ごろ来て夜半に帰る。それからパインどろ様に行く事もある。
ある時は司令命令にて島巡りをしたこともある。其の時は一番嬉しかった。ランチには中将旗がひるがえり、私一人に司令部つきの若い士官二人ついて、其の時の姿は半ズボン。何か急にえらくなったよう。昼食はサンドイッチ。今考えるとあの時くらい自分の鼻が高くなった事はない。春島、秋島、冬島とまわり、鶏をもらい得意になっていた。其の司令官も平和な日本を見て故人になった。私がこんなことを書いていると聞いたらきっとおこるかもしれぬ。
私の店は海軍省の元で働いた。私たちは楽で借金もすぐなくなり、毎日働いた帳面は一週間毎に司令部で検閲する。私たちの裏のほうに横須賀の店があった。それは民間で出して居る故、私たち一時部隊(ママ)が帰る時も借金がなくならず、後に残った人も居たと思う。私達は楽な働きをしてきた。あのころの私の借金は四千円ぐらい。昭和一七年ころは莫大なものと思う。これも海軍さんのおかげと感謝している。
後略)>
P二六~二九

そして、著者は山内馨子さんについて
<菊丸さんが知っているかぎりでも、当時の巡洋艦の艦長は現在、東京で船舶関係の運輸会社の重役をしているし、引揚げ後、釧路で芸者をしている時に再会した北海道警察のN防犯部長は元海軍大尉。現役をしりぞいて悠々自適の生活を送っている人も多い。二、三年前は何人かと年賀状や暑中見舞のやりとりもあった、と菊丸さんはいう。
菊丸さんのトラック島での思い出は、「楽しいことばかり」であったらしかった。取材中、「今まででいちばん楽しかったのは、トラック島にいたときよ」という言葉をなんども聞かされた。慰安婦という職業のイメージから、もっと暗く恨みのこもった話しを予期していたわたしには、正直なところそれは意外であった。>P三五

その菊丸こと山内馨子さんについて、著者の広田氏は当時トラック島にいた兵士にも取材しています。
大野俊雄氏 衛生兵(取材当時五五歳・東京都杉並区)
「美人でしたからなあ、友だちの五十鈴ちゃんとよく一緒に歩いていましたよ。二~三カ月に一度、軍で演芸会をやったんですが、士官用の慰安婦は芸者出身が多く、三味線や踊りで楽しませてくれました。日頃は話すこともないのですが、そのときばかりは冗談をいい合って、楽しかったですよ。
ハンサムで気のいい士官がいたのですが、その士官にのぼせた士官用の慰安婦が朝早く軍にきて、会わせてくれと頼まれて困ったことがあります。菊丸じゃあありませんよ。その士官はいま、東大で教授になっていますよ。東大紛争のときには新聞に写真と名前が出ていて、いやあ~懐かしかったですね」P四九~五〇

野口幸一氏(取材当時五四歳)一九四〇年トラック島に渡り、1945年二月帰国。松島砲台勤務
「略)士官用の菊丸さんねえ。名前は聞いたことあるような気がするけど・・・・・とにかく慰安婦のいるころはよかったですよ。いい時機に引き揚げましたよね。わたしもトラック島に長くいたものですから、馴染みの女がいましてね。名古屋出身といってました。関西方面の女が多かったようですね。その彼女はもとは芸者だったんだけども、なんでもその当時のお金で五百円の前借金が抜けないでトラックに来たといってました。それがトラックに来て五百円の金を三カ月で抜いたといってました。借金を抜いてしまったあとはあんまりお客もとらないで、気楽にやっていたようです。
馴染みになってしまうとね、もう給料袋ごと渡してしまうんですよ。そしていついつ行くからと連絡しておくと、その給料の範囲内で、さしみだとかお酒だとか買って用意しておいてくれるんです。四五分単位になってましたけど、馴染みになると慰安婦のほうでもそんなに客をとらなくなるんですね。
浮気ですか。しませんでしたね。慰安婦のほうにだって自尊心はあるだろうし、同じ棟ではできませんよね。まあときにはそういうこともあって、盗った盗らないで慰安婦同士ケンカになったという話を聞いたことはあります。慰安婦のところへ行くといったって、寝るだけが目的じゃあないんですよ。世間話をしたり、わたしらのように長く内地を離れていると、内地の様子を聞かせてもらったり、あるいはおたがいの身の上話を聞かせあったりするんです。慰安婦のほうも借金を抜いてしまうと、あとは内地に仕送りをしたりしながらノンビリやってましたからね。だからたとえ三カ月でも半年でもいいから一人の男と夫婦生活のまねごとでもしてみたいというような気持じゃあなかったですか。
同じ棟で、遊んでいる女の子がいれば呼んでくるし、こっちもときには友達二、三人と一緒に行って飲んだり食ったりするんです。慰安婦のところへ行くとね『お帰りなさい』というんです。情も移りますよね。兵隊のほうはどうせいつか死ななければいけないと思っているし、慰安婦のほうはそれまで少しでも楽しませてあげようとするしね。
ああいう世界の人間だからって軽蔑する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彼女たちだって同じ人間なんであってね。家庭の為に身を売ったりとかいろいろ事情はあったろうけど、中にはお国のためにと働く兵隊さんのお役に立ちたいと志願してくる女学生もあったそうですよ。だけどそういうのは一応病院でもって検査するときに、医者もびっくりするけど本人もびっくりしちゃってね。わたしは兵隊さんの慰安隊だっていうから志願してきたのに、こんなことするのが慰安とは思いませんでしたと泣き出すのもいました。そんなのはみんな内地に送り返しました。
日本に帰ってからは馴染みだった慰安婦とは会っていないんですよ。同じ釜の飯を食って、同じ玉の下をくぐった同年兵でさえも、いまどこでどうしているかわからないぐらいでしてねえ。でも、やっぱり懐かしいなあ。会えるものなら会ってみたいですよ。どこでどうしているのかねえ。わたしら自身生きて帰れるとは思ってみませんでしたから」P五二

もうひとり仮名ながら大阪在住の鈴本文さん(当時四五歳)という方の証言も掲載されている。
<鈴本さんがトラック島に渡ったのは昭和一七年三月。偶然にも菊丸さんと同じ船だった。帰国が昭和一八年一二月で、これも菊丸さんと同じだったのだが、二人にはまったく面識がない。菊丸さんは士官用、鈴本さんは一般兵隊用ということで、狭い日本人社会の中だというのにつきあいがなかったのである。>P四二
証言として
「略)
そやから二〇歳になるまでには、こんなところからはどんなことがあっても足洗わなと思ってね。それで体えらいのも承知で南へ行ったのです。一八歳でね。連れてった親方が、ちょっと首ひねったんですよ。借金はいちばん多いし、年はいちばん若い。身体がつづくかどうかね。前借金は二千三百円でしたが、おかげさんで全部払うてしもうて帰る時には一万円の貯金ができとりました。
略)
一年いう約束で行ったんやけど、自分らが行った時の『太平丸』かいね、あれがわたしら降ろしといて、その後の航海でやられてしまったんよね。まともに働いとれば一年で帰ってこれたんやけども、それで一〇カ月のびたわけですよ。交代の人が一年で来たから、あとの一〇カ月というものは遊んどったようなものやけどね。
略)
トラック島にいてる間は、日本にいて芸者置場を転々としているころよりも気が紛れとったね。わたしらは一般の兵隊用やからね。士官用の人たちのところは塀でかこって区別してあるわけよね。トラック島は『三笠』なんかが常時おったから、たいてい来る人は決まった人が多かった。時には、馴染みになった人に頼んで、お金だしてもろうて時間を延ばしてもろうたりしました。
一日何人ぐらいお客とったんやろう。わたしはわりあい少ないほうじゃないかしら。借金払ろうてしもうたとき、つれていっとった親方も『心配しとったけど、取り越し苦労やったなあ』いうて喜んでくれはったけどね。あのときは四〇人ちこう行ったんかしら。大阪のグループと神戸の福原遊廓のグループの合併でね。みんなはよ借金返したいばかりでね。
略)
一年の契約で一年一〇カ月いたさかい、あとは帰りの船を待つだけやったから、島巡りをしたり、のんびりしたもんやった。馴染みの兵隊さんが遊びに来たり。そやけど団体生活やからね、泊まっていったりすることはなかった。ほんとにいまの人が考えたらロマンチックやなと思うやろうけどね。その時分はまだ戦争しとったんやからね」P四三~四五

「仕事は朝一〇時ごろからやね。早いときは九時半ごろにはもうお客さんが列んどったからね。昼前が一番たてこむ。帰艦する時間があるから夕方になると、そんなにゆっくりしとらへんからね。五時半すぎるとからっぽになってしまうから、それからちょっと雑貨屋に買い物にいったり、散歩に行ったりして、それから夕食や。夕食食べながら、みんなで今日のお客さんはああやったこうやったという話したりして、九時頃には完全に消灯です。」P四七~四八

金学順など朝鮮人戦時売春婦の証言については湊郁彦氏が著書「昭和史の謎を追う」(文春文庫)、杉本幹夫氏の著書「植民地朝鮮の研究」(展転社)など数々のみなさんが強制連行についてそのウソについて指摘しています。

米軍による一九九四年夏に北ビルマのミートキーナーにて捕らえられた朝鮮人慰安婦二十人と抱え主の北村夫婦(日本人)からの尋問記録を要約したレポートによると、雇用契約は抱え主と慰安婦の配分は五〇%ずつ。月間収入は一五〇〇円、年季は半年から一年。
生活状況として、生活はかなり豊かで町へ買い物にも行けた。兵からの贈物が多く、娯楽やスポーツをやりパーティにもでた。
以上秦郁彦著「昭和史の謎を追う 下」p491~492より

同じく秦氏の著書「慰安婦の戦場の性」新潮選書には
慰安婦たちは、通常、個室のある二階建ての大規模家屋に宿泊して、寝起きし、業を営んだ。彼女たちの暮らしぶりは、ほかの場所と比べれw萪沢ともいえるほどであった。
慰安婦は接客を断る権利を認められていた。負債の弁済を終えた何人かの慰安婦は朝鮮に帰ることを許された。P二七五

元慰安婦で、平成四年に二万六千百四十五円の郵便貯金返還の訴訟を起こして敗れているビルマのラングーンで慰安婦をしていた文玉珠という元慰安婦の手記よりの引用として
支那マーケットにいって買物した。ワ二皮のハンドバッグと靴をわたしのために買った。母のためにもなにか買った。
将校さんたちに連れられてジープに乗って、ぺグーの涅槃像をみに行った。ヤマダイチロウ(日本兵の恋人)と代?の母の無事を祈って帰ってきた。P二七六

それなにり、戦場下において、日本人慰安婦だけでなく、朝鮮人慰安婦もその生活を楽しんでいた事がわかります。
何度も書きますが、売春婦は歴史的にも今も世界有数の売春大国であリ続ける朝鮮はもちろんの事、我国にも存在します。需要があり、そして、お金になるからです。ましてや、今よりも貧しい時代であり、売春も合法であった時代ということを考えればおのずとわかることです。
それを強制だと騒ぐ嘘つき朝鮮人慰安婦。まるで金になるものだったら何にでもたかる蠅やダニ以下の人種です。
まあ、我が国にとっての一番の問題は、そういったダニを焚き付ける朝日新聞などの腐れマスコミとアホな日本人連中ですけど。

Monday, October 8, 2012

Strained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Lame ducks and flying feathers

http://www.economist.com/node/21562239

Strained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Lame ducks and flying feathers
Domestic political upheaval in both countries makes a damaging row worse
Sep 8th 2012 | SEOUL AND TOKYO | from the print edition


IN RECENT administrations in South Korea a pattern has emerged for how presidents treat Japan. For the first three of their five years in office, they are in a friendly swoon, focusing firmly on the future. Then, as if rudely awoken, they remember that Japan was once a brutal coloniser, and things go swiftly downhill.

Lee Myung-bak, in his last few months as South Korea’s president, is following the same script, but with a twist. On August 10th he made an unexpected visit to an islet that South Korea, which occupies it, calls Dokdo, and that Japan, which covets it, calls Takeshima. That suddenly upset the diplomatic limbo in which the territorial dispute had lain for years. A South Korean president had never set foot on the island before. A few days later Mr Lee added what the Japanese saw as insult to injury, by saying that if the emperor, Akihito, were to visit South Korea, he should first apologise for Japan’s wartime sins. Then followed a Dokdo nonsense, in which the South refused to receive a diplomatic letter and Japan refused to take it back. Even Japan’s relations with North Korea appear to have more scope for improvement.

In this section
»Lame ducks and flying feathers
Troubled waters
Contemptuous
Another dynasty in trouble
Reprints
Related topics
Government and politics
Yoshihiko Noda
Politics
Japan
South Korea
The question is why Mr Lee, who must leave office shortly after elections in December, is going out of his way to be so provocative. Now that Park Geun-hye, no friend of the president, has become the ruling party’s candidate to contest the elections, Mr Lee looks like a lame duck. His brother, who wielded influence over his administration, was indicted in July on kickback charges, joining other former presidential aides accused of corruption. In a country where ex-presidents’ families and friends are often hounded by their enemies, Mr Lee’s visit to the island can best be explained as a way of shoring up his defences before he goes.

The trouble is, he is not the only diminished leader in the neighbourhood. In late August Yoshihiko Noda, the Japanese prime minister, was defeated in an opposition censure in the upper house, in effect killing his chances of pushing legislation through both houses of parliament during this session.

The immediate consequence is that his government is running out of cash. On September 4th it postponed ¥4.1 trillion ($52.4 billion) in tax grants to towns and cities, following its failure to pass a bill to issue bonds to help fund this year’s budget. Soon, though, the censure motion may leave Mr Noda no choice but to dissolve parliament, pushing him into an autumn election that polls suggest his ruling Democratic Party of Japan (DPJ) will lose. The fight is likely to be liveliest on the nationalist right, where some of the DPJ’s most potent challengers include people spoiling for a verbal confrontation with South Korea. That will make the bilateral tensions even harder to diffuse.

Pundits are struggling to understand how matters deteriorated so swiftly. They are mystified as to why Mr Lee brought the emperor into the fray. The 78-year-old has worked hard to improve relations with South Korea, as with all neighbours who suffered under Japanese imperialism. He is not shy of apologising.

As for the surprise visit to the island, Mr Lee has broken what the Japanese see as a diplomatic taboo. And he has sought to aggravate the thorny territorial issue with the emotive issue of “comfort women”, South Koreans press-gang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long with other nationalities, to provide Japanese soldiers with sex.

A year ago South Korea’s Constitutional Court compelled Mr Lee’s government to take steps to address the grievances of some of the victims who every week hold protests outside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Park Cheol-h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kons that Mr Lee decided to go to the island partly out of frustration, because his government was unable to persuade Mr Noda’s administration to offer compensation to the comfort women, along with profounder apologies than Japan had issued to date.

In South Korea the blame for this fell largely on Mr Noda. However, Hitoshi Tanaka, a Japanese foreign-policy expert who has taken part in comfort-women negotiations in the past, says it was long ago agree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Japan could not offer state handouts to individuals, however much they suffered, on the (admittedly curious) ground that the demands would be endless. He says the Lee administration ignores numerous past apologies, as well as indirect compensation payments.

A big risk now is that the row could inflame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Charismatic right-wing politicians such as Toru Hashimoto, mayor of Osaka, who is preparing to launch a nationwide political party to take part in the elections, is one of several influential figures who have called for a review of the 1993 “Kono Statement”, named after the then chief cabinet secretary, which is Japan’s fullest apology for the incidents of sexual slavery. So has Shinzo Abe, a nationalist whose disastrous spell as prime minister has not snuffed out his ambitions. Such a review would infuriate South Koreans.

Deteriorating relations have already had material consequences. In June, and at the last moment, South Korea shelved a deal to share intelligence with Japan, mainly about North Korea. Military exchanges, which are encouraged by the United States, an ally of both countries, were suspended this week. Japan is mulling whether to renew a currency-swap agreement that expires in October. Politicians are even threatening to stop a Korean soap-opera star from visiting Japan, after he took part in a swimming relay to Dokdo. For Japanese women obsessed with the “Korean wave” of popular culture, that is extremely serious.

Five million tourists travel between the two countries each year, and the business ties are so thick that a huge incentive exists for South Korea and Japan to overcome their differences. It will not happen, however, before Mr Lee leaves office. By then, Mr Noda may be gone too.